[甲질의 시대]
갑질, 권력 따라 가치 판단이 원인
전문가 "부당한 권력 막을 장치 필요"

전우영 충남대 심리학과 교수. 충남대 제공. 
전우영 충남대 심리학과 교수. 충남대 제공. 

[충청투데이 김성준 기자] 사회적 권력을 가진 이들로부터 나오던 갑질 문제가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사회적 인간관계가 과거에 비해 거래 지향적으로 변하면서 갑질의 양상이 달라졌다고 설명한다.

전우영 충남대 심리학과 교수는 "우리나라 사회에서 나타나는 인간관계가 예전과 다르게 점점 더 거래 지향적인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며 "하나의 공동체에서 사는 똑같은 구성원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권력에 따른 가치 판단을 하다 보니 여러 형태의 갑질이 나타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전우영 교수는 권력의 우위에 있으면 약자에게 부당한 행위를 해도 괜찮다고 생각하는 그릇된 사회적 가치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전 교수는 "강자가 약자에게 원하는 걸 강요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구성원들이 많으면 다양한 형태의 폭력이 나타난다"며 "사회적 지위가 높은 부모를 둔 학생이 마치 자신이 권력을 가진 것처럼 행동하며 다른 학생을 괴롭히는 것처럼 사회에서 어떤 가치가 지배적인지에 따라 갑질의 빈도도 달라진다"고 설명했다.

그는 갑질을 예방할 수 있는 제도 마련과 더불어 가치 판단의 지향점이 달라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 교수는 "단기적으로 부당한 권력을 갖고 행동하는 사람들을 제지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면서도 "장기적으로는 경쟁을 강조하고 승리자가 권력을 취하는 것처럼 사회가 추구하는 그릇된 가치를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국민의 권리를 위임해서 의사결정하는 정치권력이 어떤 가치를 추구하는 지도 사회적으로 추구하는 가치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사회적 가치를 정하는 결정은 우리 스스로 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성준 기자 junea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