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승래 국회의원

대덕연구개발특구(이하 대덕특구)는 1973년 조성 계획이 수립된 이래 지난 50여년간 대한민국 발전을 견인해 왔다. 대한민국을 정보통신기술 강국으로 올라서게 만든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분할다중접속) 기술부터 우리나라를 세계 7대 우주 강국 반열에 올린 누리호 발사 기술까지 대한민국 성장 중심에 대덕특구가 있었다.

이처럼 국가적으로 큰 상징성과 의미를 갖고 있는 대덕특구가 올해로 조성 50주년을 맞았지만 상대적으로 정부의 관심도는 부족한 것 같다. 출범 50주년 기념을 위한 예산이 고작 3억원만 정부안에 반영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그나마 국회에서 필자가 증액 의견을 내어 겨우 2억원이 추가 반영됐지만 이마저도 당초 계획했던 20억원의 1/4 수준이다. 올해 9월로 예정된 기념행사가 내실있게 운영될 수 있을지 걱정스럽지 않을 수 없다.

이번 기념행사는 단순히 지난 50년을 반추하는 자리가 아니다. 과거의 성과를 바탕으로 대덕특구 미래 50년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하는 자리가 돼야 한다. 대덕특구는 50주년을 맞은 만큼 인프라와 시스템이 많이 낡았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이제 50년을 기점으로 새롭게 재창조 돼야 한다. 필자는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일찍이 대덕특구 재창조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국회 예산 심의 단계에서 관련 연구 용역비를 반영시킨바 있다.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정부와 대전시가 재창조 사업을 추진하려고 논의중이지만 속도가 더딘 상태다.

그나마 정부가 지난 1일 진행된 제5차 수출전략회의에서 대덕특구는 출연연과 기업을 연결하는 첨단 R&D 융복합 특구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히면서 새로운 추진동력이 생긴 것은 다행스러운 점이다.

그러나 향후 계획을 구체화하는 단계에서 보완해야 할 사안들이 많다. 특히 반드시 고려돼야 할 사안은 필자가 과거부터 계속 주장해 왔던 실증 기능의 추가이다. 대덕특구에서 만든 기술이 제대로 사업 아이템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반드시 실증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러나 연구자와 기업 모두 이 기능을 수행하기에는 전문성도 여력도 없는 것이 현실이다. 현재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에서 진행중인 실증단지 조성을 위한 연구용역 결과가 올해 7월 이후에 완료된다. 해당 용역 결과가 특구 재창조 방향에 반영돼야 할 것이다.

또한 인재 육성 방안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 아직 정부 계획은 해외 우수인재 유치 수준에 머물러 있다. 저출생 고령화 시대에 인적 자원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깊은 고민이 동반돼야 한다.

대덕특구의 새로운 방향에 대해서는 이미 어느 정도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필자가 지난달 31일 국회에서 개최한 대덕특구 50주년 기념 특구 미래정책 국회포럼 행사에서 발제를 맡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임덕순 선임연구위원은 특구가 연구만 하는 공간이 아닌 기술 사업화, 창업 등이 연계된 복합 문화 공간으로 탈바꿈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이런 목소리들을 충분히 담아 제대로 된 비전을 발표해야 할 것이다. 필자는 조만간 국회에서 대덕특구 조성 50주년 기념, 대덕특구 지원 촉구 결의안을 대표 발의할 예정이다. 대덕특구 50주년이 대전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전체에 의미 있는 계기가 돼도록 국회에서 50주년을 알리는데 노력할 것이다. 결의안을 계기로 정부·지자체, 시민사회가 대덕특구 50주년에 더욱 깊은 관심을 가져주길 바란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