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200여건 크고 작은 사고 발생
고위험 연구실 전체의 60% 달하지만
법 인식·예산 부족 탓 안전진단 소홀
세부적인 안전관리 시스템 마련 절실

[충청투데이 이정훈 기자] 최근 강원대 춘천캠퍼스의 한 실험실에서 폭발 사고가 발생하는 등 해마다 안전사고 끊이지 않으면서 ‘연구실 안전관리’가 도마 위에 올랐다.

그동안 연구실 안전망 확보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수차례 제기돼 왔지만, 아직까지도 사고 재발방지대책의 수립과 이행은 미흡한 실정.

연구실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철저한 예방과 연구 주체의 안전의식 확산을 위한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과학기술분야 연구실은 화학물질 등 유해인자를 다뤄 위험 요소에 쉽게 노출되고 있지만, 매년 200여건에 달하는 안전사고가 반복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연구안전정보시스템에 공표된 '2022년 연구실 실태조사 보고서' 결과 2021년도 연구실 사고 발생 건수는 292건으로 집계됐다.

2020년 227건, 2019년 232건 등 매년 200건 이상의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대학과 기업부설(연), 연구기관 등이 보유한 연구실(8만 6236개)에서 '정밀안전진단 대상 연구실'은 총 5만 1761개로 60%에 달했다.

정밀안전진단대상 연구실은 유해·유해물질 및 시설·장비를 취급하는 등 유해 또는 위험한 작업을 필요로 하는 곳을 말한다.

보다 세밀한 안전 체계와 시스템이 가동돼야 하는 연구실이 절반이 넘는 것이다.

정밀안전진단 대상 연구실을 보유한 기관들은 2년마다 1회 이상 안전 진단을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 안전진단 면제 기관·정기 점검을 진행한 곳을 제외한 2332개 기관 중 105곳의 기관들은 안전 진단을 진행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미실시 사유로는 '법 인식 부족'이 45.7% 나타났다.

이밖에 관리인력 부족 또는 일부 연구실은 예산 부족으로 안전 진단을 실시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또한 연구실 안전환경 또는 연구시설에 결함이 발견돼 안전환경 개선이 필요한 상태(3등급)로 분류된 연구실만 3336곳(2022년 기준)에 달한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다.

총 연구실 수 대비 6.5%에 해당하는 비율이지만 3000여개의 연구실은 안전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셈이다.

이 같은 상황 속 연구실 안전사고는 반복되고 있다.

실제 연구 시설이 밀집돼 있는 대전 지역만 봐도 2020년 충남대 연구실서 폭발사고로 10여명이 다친 바 있고 국방과학연구소, 카이스트 등의 실험실 폭발사고, 지난 3월 대전 유성구 문지동의 한 화학제품 제조 기업 연구실 화재 등 그동안 크고작은 연구실 사고가 지속돼 왔다.

출연연 한 관계자는 “안전 관리 교육이나 전문 인력을 늘리고 있지만 각 기관마다 안전관리계획이 제각각 이뤄져 있어 안전과 관련한 세부적인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며 “선진형 연구실로 정착하기 위해 실제 연구 현장에 적용 가능한 안전 관리 체계 구축이 마련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연구원 =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연구원 =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이정훈 기자 classystyle@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