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로 방사선비상계획구역 수십년 째 위해 가능성 노출
원전지역보다 방사성폐기물 多… 市, 정부 지원책 지속 건의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 2022.4.20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 2022.4.20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2년 뒤 연구용원자로 ‘하나로’가 가동 30년을 맞이하며 인근 주민의 안전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점차 커져가고 있다.

올해 대덕특구 출범 50주년을 계기로 한 특구의 외연확장도 중요하지만 방사선비상계획구역 거주민의 지원책 마련이 더욱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현재 연구용원자로 하나로는 1월 31일 재가동 하루 만에 자동정지 된 이후 여전히 정지 상태를 유지 중이다.

한국원자력안전위원회가 대전지역사무소에서 현장 안전성을 점검하고 있으며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전문가가 상세 사건 조사 중에 있다.

재가동을 위해선 원안위 심의에 상정, 의결 후 가능한데 대전시는 두 달 이상 소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005년 5월 이후 이번까지 총 13번의 중단 사태가 반복되자 하나로와 인접한 방사선비상계획구역인 유성북부(구즉, 관평, 신성) 주민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민선8기 이장우 대전시장 공약인 제2대덕연구단지 조성사업을 비롯해 대덕특구 출범 50주년을 계기로 추진 중인 대덕특구 재창조 등 외연 확장도 중요하지만 원자력 안전를 위한 근본적인 제도 개선이 더 시급하다는 것.

현행 원자력진흥법은 원자력연구개발사업 및 사업수행에 필요한 여러 지원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정작 주변 방사선비상계획구역 내 거주민에 대한 방사선 안전대책 및 환경권 침해 등 직·간접적 불이익에 대한 지원책은 빠져있는 실정이다.

특히 하나로 방사선비상계획구역은 수십 년째 국가 원자력연구개발사업 수행에 따른 방사선 위해 가능성에 노출돼 있고, 원전지역보다도 많은 방사성폐기물을 장기보관 중이라 시민 불안이 그 어느 구역보다 높다.

이에 대전시는 하나로 주변 지역의 지원제도 마련을 위해 정부에 제도 마련을 지속 건의 중이며, 내달 방문 계획도 밝혔다.

또 28일 전국원전동맹 회장지역인 울산을 방문해 원자안전교부세 관련 법안 통과를 위한 협력을 도모할 방침이다.

시는 이와 별개로 올해 주민참여예산을 활용, 원자력환경감시센터에 분석장비를 투입해 신속, 정확한 환경감시시스템을 도입할 방침이다. 원자력환경감시센터는 2020년 한국원자력연구원 세슘누출사고의 재발방지대책으로 설치한 기구인데 그간 분석인력만 존재, 시료를 채취할 분석실과 장비가 없어 외부기관에 의뢰해온 바 있다.

시 관계자는 "그간 환경감시센터가 환경 방사능 분석실험을 위한 즉각적인 대처가 어려웠는데 올해 인프라를 개선해 시민 안전망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원자력안전교부세 신설 등 역시 정부에 지속적인 건의를 통해 인근 거주민의 불안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