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017년 5월 충남 보령댐의 모습. 극심한 가뭄에 댐이 바닥을 보이고 있다. 충청투데이DB
2017년 5월 충남 보령댐의 모습. 극심한 가뭄에 댐이 바닥을 보이고 있다. 충청투데이DB

충남의 미래 물 부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지역의 물그릇 확보 등 물 부족에 대한 전략적 대책 마련이 없을 경우 홍수와 가뭄 등 기후적 측면은 물론 산업·생산 시설까지 영향을 미쳐 경제적 성장 저하도 예상되고 있다고 한다. 이 같은 전망은 충남도가 나서서 관리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는 이유이기도 하다.

특히 충남도는 물 전문가들의 조언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물과 기업 활동에 대한 권현한 세종대 건설환경공학과 교수의 조언은 충남의 현실에 비춰볼 때 더욱 절실하게 다가온다. 권 교수는 반도체 대기업들이 용인 등 경기도 지역을 생산시설로 선호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핵심 이유는 바로 물이다. 반도체 생산 공정의 경우 안정적이고 풍부한 공업용수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경기도 용인은 한강과 인근 댐에서 제공하는 공업용수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고 있으며 산업시설에게는 큰 매력이 아닐 수 없다.

반면 충남의 물 사정은 녹록하지 못하다. 도내 유일한 다목적댐인 보령댐은 용량이 너무 작다보니 충청 인근의 대청댐 등에서 물을 공급받아 쓰는 형편이다. 가뭄이라도 발생하면 보령댐은 바닥을 드러내기 일쑤다. 이런 상황에서 기업들에게 아무리 좋은 조건을 제시하며 충남으로 내려오라는 권유한들 공업용수가 불안한데 기업들이 움직이겠는가.

물론 다목적댐 건설이나 하천 정비 등은 지방자치단체 스스로 해결하기에는 어려운 사안이다. 국가치수정책으로 추진되어야 하는 국가사업에 속한다. 그렇다고 정부가 결정을 내려줄 때까지 기다릴 수만은 없을 일이다. 속담에 목마른 사람이 우물 판다는 말이 있다. 목마른 충남도가 물그릇을 확보할 방안을 먼저 고심하고 연구해, 이를 정부에 역제안하는 등 적극적인 태도가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