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가뭄이 지속되던 2017년 당시 보령호. 충남도 제공.
가뭄이 지속되던 2017년 당시 보령호. 충남도 제공.

충남이 물 부족 위기에 처한 것으로 나타나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신속한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당장 7년 뒤인 2030년부터는 물 부족 현상을 겪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물 공급이 원활하게 되지 않을 경우 먹는 식수는 물론, 지역 경제와 산업에도 직접적인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더욱 우려스럽다.

충남도 등에 따르면 충남 도내에서 하루에 사용하는 생활·공업용수는 137만 1000t 수준이다. 현재는 대청댐, 보령댐, 지방상수도, 용담댐 등을 통해 하루 206만t을 확보할 수 있다고 한다. 또 2년 안에 대산공단에 하루 10만t 규모의 해수담수화 시설과 서부권 용수공급사업을 통한 9만 6000t을 추가 조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수치적으로 볼 때는 충남의 물 공급에 큰 차질이 없을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각 수원에서 물 공급이 안정적일 때의 이야기다. 지금도 가뭄 등의 기상 여건이 변화하면 물 부족 현상을 반복하고 있다. 지난해 6월 가뭄 현상으로 서산 대호호의 저수율이 20%대까지 떨어지면서 국내 3대 석유화학단지인 대산공단의 공장이 가동을 멈출 뻔했다. 2017년 가뭄 당시에는 보령댐의 평균 저수율이 21.9%까지 내려가 이를 수원으로 하는 충남 서부권 8개 시·군에 비상이 걸리기도 했다.

충남이 물 위기에 시달리는 이유는 수원이 없고 댐 등의 물을 관리할 시설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충남의 유일한 댐은 보령댐이지만, 이 역시도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수원이 없다. 물 그릇에 불과한 것이다. 그나마도 보령댐은 충남 서산, 당진, 보령 등 서부권 일부 시·군만 담당하고 나머지 천안·아산이나 공주, 논산, 금산, 서천 등은 충북의 대청댐이나 전북의 용담댐에서 기대어 살고 있다. 최근 충남 지역 내 물 공급 안정화와 산업단지 조성에 필요한 용수를 확보하기 위해 팔당댐을 이용하는 방안이 추진됐지만, 경기도의 부동의로 실패했다고 한다.

충남의 물 위기 관리를 이대로 방치했다가는 식수는 물론 산업 용수가 모자라 공장을 세워야 하는 상황에 놓일 수 있다. 충남의 물 부족 위기는 먼 미래가 아니라 발 아래 떨어진 현실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심각성을 인지하고 특단의 대책을 세워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