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체감 가능한 ‘서비스 실현’
전문가들 “사업 성패 최대 관건”
서비스 수요파악 채널 구축 중요
시행착오 줄일 단계적 계획 요구

<세종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진단>
글싣는 순서

① 세종 스마트시티 밑그림
② 현실 가능성 있나
③ 기관별 협업체계 중요
④ 상징적 랜드마크 필요
<5> 전문가 조언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충청투데이 강대묵 기자] 스마트시티 각계 전문가들은 ‘세종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의 성공요건은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 실현’이 최대 관건이라고 입을 모은다. 일각에서는 정재승 총괄계획가(MP)가 제시한 △모빌리티 △헬스케어 △교육 △에너지·환경 △거버넌스 △문화·쇼핑 △일자리 등 7대 혁신요소가 현실을 뛰어넘은 ‘이상적 발상’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스마트시티를 통해 공상과학소설의 화려한 모습을 기대할 경우, 실망감도 극에 달할 것이라는 우려다. 사업 추진 과정에서 각각의 혁신요소가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기술로 뿌리 내릴 수 있도록 관계기관이 힘을 모아야 할 때이다.

이상건 국토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스마트시티는 전국을 넘어 세계 곳곳에서 시행하고 있는 사업”이라며 “세종시의 경우 스마트시티를 건설할 수 있는 최고의 인프라를 갖췄다는 점이 부각된다”고 설명했다. 이 위원은 “가장 중요한 것은 실제 어떠한 도시 정보를 시민에게 전달했을 때 행복감을 느낄 수 있느냐다. 구체화 하는 작업이 관건”이라며 “기술을 위한 서비스가 아닌, 서비스를 위한 기술이 적용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예를 들어 소유차 제한구역의 경우 내 차를 못가지고 이동하는 것이 과연 행복할까. 삶 자체가 불편해진다면 기술을 위한 서비스로 여겨질 뿐”이라고 전했다.

그는 “각종 오염, 재난, 범죄 등에 대한 시민 불행요소를 줄일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한 이후,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사업이 진행돼야 한다”며 “특히 사업 추진과정에서 시민들이 어떠한 서비스를 원하고 있는지에 대한 채널 구축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한 사업초기 단계의 체계적 계획 수립도 요구되고 있다. 정재호 목원대 금융보험부동산학과 교수는 “스마트시티 건설은 여러 도시에서 시도를 하고 있지만 형식적 홍보 측면에서 끝나는 경우가 많다”며 “실제 주민들이 최신의 스마트 기술을 활용해 현실적인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스마트시티는 사업 초기단계에서 시행착오를 겪을 가능성이 높다. 반대로 얘기하면 시민들은 불편을 감수해야 할 수도 있다”며 “최첨단 인프라를 잘 활용하지 못할 경우 지방의 경제적 부담과 각종 부작용을 낳을 수 있기 때문에, 계획단계부터 차질없는 사업이 추진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계기관의 협업체계 구축도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유인상 LG CNS 스마트시티사업추진단장은 세종 스마트시티의 방향에 대해 “세종시 전역을 스마트시티로 구현할 민간부문과 특수목적법인(SPC)과 같은 형태의 강력한 협업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더 나아가 민간이 하나가 되는 세종시 스마트시티를 성공시키고 이 협력체계를 ‘팀 코리아’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끝>

세종=강대묵 기자 mugi10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