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진단>
세종 ‘스마트시티 시범도시’ 지정
2023년까지 5-1생활권에 조성
4차산업 기술로 도시 문제 해결
올해 모빌리티 등 7대 요소 바탕
시민 편의↑·신산업 생태계 구축

사진 = 세종스마트시티 구상도. 연합뉴스
사진 = 세종스마트시티 구상도. 연합뉴스

국가중심 ‘세종특별자치시’에 4차 산업혁명의 심장이 뛰고 있다. 지난 2018년 1월 정부의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로 지정되면서 대한민국 백년대계를 이끌 일류도시를 만들기 위한 가속페달을 밟는 중이다. 스마트시티는 급속한 도시화로 발생하는 문제를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 로봇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해 해결하는 도시를 그린다. 쉽게 말해 공상과학영화의 단편을 현실로 옮기는 작업. 높은 기대감 만큼 사업주체의 역할은 막중하다. 세종 스마트시티의 추진방향과 과제 등을 총 5회에 걸쳐 진단한다.

글싣는 순서
<1> 세종 스마트시티 밑그림
② 현실 가능성 있나
③ 기관별 협업체계 중요
④ 상징적 랜드마크 필요
⑤ 전문가 조언

[충청투데이 강대묵 기자] ‘세종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의 대상지는 세종 연동면 5-1생활권 274만㎡(83만평) 부지다. 총 계획인구는 2만 3000명으로 사업시기는 2018년부터 2023년까지다. 총 사업비가 1조 4876억 원(공공 9568억 원·민간 5308억 원)에 달하는 매머드급 대형 프로젝트다.

세종 스마트시티는 △모빌리티 △헬스케어 △교육 △에너지·환경 △거버넌스 △문화·쇼핑 △일자리 등 7대 혁신요소를 품고 있다. 7대 혁신요소는 아직 사업 초기 단계인 만큼 추상적인 밑그림으로 비춰질 수 있다.

'모빌리티'는 도시생활의 편리함을 유지하면서 자동차 수를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하는 게 목표다. 이동수단을 ‘소유’에서 ‘공유’로 전환하는 것. 카쉐어링, 자율주행 셔틀 등 인프라를 통해 통합 모빌리티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헬스케어’는 잘 짜여진 의료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거대한 병원처럼 시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선제적이고(예방), 신속하게(응급) 대응하는 것이 목표다. 스마트 의료 시스템을 통해 응급환자의 생존률을 높일 것으로 관측된다. ‘교육’은 청소년들에게는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를 증진시키는 교육을, 어른들에게는 창업과 취업을 위한 평생교육을 제공하는 각종 인프라 및 스마트 교육 시스템을 접목시킨다.

‘에너지·환경’은 환경친화적 에너지 혁신기술 및 시민 참여기반의 사업 도입으로 지속가능한 친환경 미래에너지 도시를 조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제로에너지 건축물 도입 및 재생에너지 확산에 나선다.

‘거버넌스’는 시민들이 직접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이슈의 의견을 제안할 수 있는 ‘시민 참여형 의사결정 시스템’을 제공하고 블록체인을 통한 지역화폐로 시민참여를 촉진한다. ‘문화·쇼핑’은 시민들에게 다양한 문화 경험과 편리한 쇼핑 환경을 제공한다. 각종 문화·공연의 기회를 확대하고, 도시 전체 쇼핑 매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일자리’는 세종 생활권에 창조적 기회를 제공하는 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매력적인 기업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혁신성장 선도사업의 핵심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 같은 7대 혁신요소를 공공과 민간이 함께하는 사업추진체계를 통해 현실성 있게 재편하는 작업이 올 한해 펼쳐질 전망이다.

스마트시티 토지이용계획에는 △자율주행 전용도로 △소유차 제한구역 등 다양한 도시의 디자인이 그려지며, 추진전략은 ‘데이터 기반 운영도시’를 모토로 한다. 세종 스마트시티는 시민들의 편의도모를 뛰어넘어, 신산업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는 점이 눈에 띤다.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전진기지인 셈이다. 정부는 빠른 시일 내 세종 스마트시트 조성을 전담 할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한 이후, 신산업생태계 구축을 통해 도시를 만들어 갈 계획이다. 도시 골격을 갖추는 부지조성 등은 LH가 맡고, 스마트서비스 구현을 위한 인프라 구축은 SPC가 담당한다. 현재까지 제시된 추상적인 밑그림을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현실 가능한 도시를 만드는 게 관건이다.

세종시 관계자는 “스마트시티는 도시의 계획부터 운영까지 민간과 함께 만드는 도시”라며 “민간의 다양한 참여기반을 조성하고, 효율적인 협업체계를 구성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스마트도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강대묵 기자 mugi10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