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획]충북 중부권 기업유치 찬바람 ① 한파에 시야도 어둡다

수도권과 인접한 지리적 특성과 교통망 등으로 최근 수년간 충북의 신 산업동맥으로 성장한 중부권이 한파의 덫에 걸려 몸살이 날 지경이다.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투자심리 위축과 수도권 규제완화, 관리지역 세분화 등의 악재가 맞물린 결과다. 여기다 세종시 수정안의 불똥까지 우려해야 하는 처지라 시야는 어둡기만 하다. 더블 딥(Double Deep:경기침체 후 일시적으로 회복되다가 다시 침체하는 현상)의 불안감이 짙게 깔린 중부권의 오늘을 들여다봤다. 편집자

올해 음성과 진천, 괴산, 증평 등 충북 중부권의 기업유치 실적이 영 신통찮다. 공장 신·증설의 바로미터인 인허가 현황만 봐도 그렇다. 성장판이 크게 열린 음성조차 고전을 면치 못했다. 지난 12일 현재 공장 신증설은 260건으로 지난해 430건 대비 약 40%나 줄었다. 진천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10월 말 기준 79건으로 지난해 139건을 크게 밑돌았다. 증평은 15건에서 11건으로, 괴산은 35건에서 16건으로 각각 곤두박질쳤다.

지자체 관계자들은 여러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입을 모은다. 내부적으로는 지난 2월부터 적용된 관리지역 세분화가 걸림돌이다. 관리지역을 보전관리·생산관리·계획관리 등 3개 용도지역으로 세분화함으로써 공장 입지가 줄었다는 것이다.

위력은 외풍이 훨씬 드세다. 전대미문의 불황으로 움츠러든 기업들이 좀처럼 기지개를 켜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한 유동성 불안과 국제 원자재값 급등, 원달러 환율 고공행진 등으로 올초 수출은 반토막이 났고, 내수는 얼어붙었다. 여파는 현재진행형이다. 면역력이 약한 기업들이 쓰러져 갔고 견실한 기업도 제살 깎기로 근근히 버티고 있다. 충북 중부권 역시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관계자들은 분석했다.

가장 치명적인 악재는 수도권 규제완화로 볼 수 있다. 지난해 말부터 가시화 된 정부의 수도권 규제완화가 올 1월 13일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법(산집법)' 시행령과 수도권정비계획법(수정법) 시행령 개정안 의결로 날개를 달았다. 음성, 진천 등이 산업지대로 급부상한 데는 수도권 턱밑이라는 지리적 이점이 크게 작용했다. 기업들이 지방이전이나 투자를 꺼리면 제일 먼저 타격을 입는 곳도 충북 중부권일 수밖에 없다.

정부의 발표대로 우리 경제가 회복기에 접어들었는가에 대한 시각은 제각각이다. 진천군 관계자는 “공장 신증설이 대폭 감소한 것은 사실이나 그나마 경기가 살아나고 있다는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고 내다본 반면 음성군 관계자는 “현 상황으로 볼 때 내년 전망도 어둡다. 올 수준을 유지한다면 선전이라고 본다”고 점쳤다. 어느 진단이 적중될 지 모르지만 중부권을 둘러싼 한랭전선은 여전히 두터운 것이 사실이다. 중부본부=이인회·김상득·강영식·김요식 기자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