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태 대전·세종지방중소벤처기업청 지역정책과장

"사람이 없어요." 지방에서 중소기업을 운영하시는 분들이 적절한 인력을 구하기가 어렵다며 심심찮게 호소하는 말씀이다. 국내경기는 혹독한 불황을 겪다가도 호황으로 바뀌는 사이클을 탄다. 반면에 국내 중소기업의 인력 문제는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전 세계적으로도 예가 드물 정도로 우리나라의 고령화와 저출산 문제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구구조적인 문제에 더해 중소기업과 지방이라는 두 가지 키워드는 지방 중소기업의 인재확보 어려움을 더욱 강하게 짓누른다. 여러 미디어에 노출된 중소기업을 기피하게 만드는 키워드를 살펴보자. ‘낮은 처우’, ‘워라밸 곤란’, ‘불투명한 미래성장’, ‘낮은 고용안정성’, ‘낮은 사회인식’. 한편, 수도권으로 자원집중이 심화되는 사회 현상은 지방 근무를 기피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방 중소기업이 높은 임금과 복지를 제공하여 적절한 인재를 구하기란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측면이 있다. 어려운 현실에도 불구하고 일부 기업은 인력문제를 나름 슬기롭게 헤쳐 나가기도 한다. 그 한가지 지혜는 정부의 인력 지원사업을 적극 활용하는 방안이다.

중소기업중앙회의 중소기업 실태조사(2021년) 결과에 따르면 최근 1년간 정부의 인력지원 사업에 참여한 기업은 25.4%로 제한적이다.

일자리 안정자금, 고용유지지원금 등 ‘인건비 보조제도’, ‘외국인력 제도’ 순으로 도움이 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업지원을 받지 않은 이유로는 ‘지원제도 모름’, ‘자격요건 불충분 신청 포기’, ‘자체해결’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장 내 교육훈련은 ‘미실시’가 가장 높고 ‘업무 인수인계 현장교육’, ‘체계화된 현장 사내교육’ 정도에 머물고 있다. 외부수혈이나 전문교육을 통해 양질의 인재를 확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정부의 인력지원에도 불구하고 제도를 몰라서 지원을 못받는 분들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안타깝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현재 지방청에서 주로 안내하는 사업을 중심으로 소개해 본다. 첫째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이다. 제조업 및 지식기반 서비스 분야 등 산업 각 분야에 소질을 가진 학생을 발굴하고, 현장중심 직업교육을 통해 취업연계까지 지원한다.

둘째 ‘중소기업 기술사관’이다. 특성화고 2년과 전문대학 2년 하여 총 4년간 연계 교육을 통해 숙련된 기술인력의 중소기업 취업을 연계한다. 전문대학이 중심이 되어 특성화고와 중소기업 3자가 협업하는 민간 주도형 기술인력 양성사업이다.

셋째 ‘중소기업 계약학과’이다. 대학에서 산업계의 교육 수요를 바탕으로 전문학사부터 박사까지 다양한 학위 과정을 개설해 재직자의 역량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이다. 교육과정 과목편성에서 학과운영에 이르기까지 중소기업이 폭넓게 참여한다.

정부는 이외에도 다양한 인력지원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지방청이나 가까운 중소기업 전문지원기관을 적극 활용하여 전문성을 갖춘 우수인재 확보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