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교·대전본사 교육문화부 기자

[충청투데이 조선교 기자] 정부는 고등교육 정책에서도 첨단산업에 드라이브를 걸었다.

반도체를 비롯한 여러 산업군에서 우수 인력을 양성해 기술 초격차를 실현하겠다는 취지다.

지역대학을 대상으로도 이를 위한 각종 지원사업이 추진돼 인력 양성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자치단체들도 분주하다. 여러 국책 사업을 확보하고 산업단지를 개발하기 위해 발 벗고 나섰다. 반도체부터 바이오, 메디컬, 방위산업, 빅데이터, 인공지능, 모빌리티, 수소산업, 디스플레이, 정밀화학, 드론, 인공지능 등. 충청권에서만 주력 또는 전략산업으로 밀고 있는 분야가 열 가지를 훌쩍 넘어선다.

이 산업들이 자리 잡기 위해선 인재 양성이 수반돼야 하며 양성된 인력이 지역에 정주하는 선순환 구조가 구축돼야 한다는 점에선 그 누구도 이견이 없다. 정작 산업의 중심에서 서야 할 학생들의 관심은 어떨까. 정부와 자치단체, 대학이 달려들어 주력산업의 인재 양성에 힘을 쏟고 있지만 학생들에겐 와닿지 않는 모습이다. 충청권 정원 7000명 이상 일반대 17개교의 올해 수시 모집에선 지역 주력산업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190여 학과 중 60%가 일반전형 기준 경쟁률 6대 1 미만을 기록했다. 수시 지원이 학생 1인당 6회까지 가능해 경쟁률 6대 1 미만은 과거부터 미달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됐다. 현시점에선 전형이 다양화되면서 실제 미달로 이어지는 경우는 줄었지만 여타 전공에 비해서도 상대적으로 경쟁률이 낮아 우려를 거둘 수 없는 실정이다.

입학 이후에도 지역 산업에 대한 무관심은 이어진다. 각 지역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조사에선 대전·충남 대학생 40% 이상이 ‘지역 기업을 잘 모른다’고 응답했고 세종은 그 비율이 70%대에 달했다. 사실상 중등부터 고등교육에 이르기까지 지역산업과 학생들의 간극이 좁혀지지 않고 있는 셈이다.

그렇다면 정부와 자치단체가 밀어붙이고 있는 지역 산업계 인재 양성은 누굴 위한 정책인가. 입시 위주의 교육정책과 제대로 된 진로설계 교육의 부재가 지역산업으로부터 학생들을 소외시키고 있는 것은 아닌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최근 진로·진학을 지원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어지고 있지만 대학 관계자들은 학생도, 지역기업도 소극적인 탓에 한계가 분명하다고 지적한다. 특히 기업과 학생들의 접촉이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어떻게 지역기업과 인재를 ‘밀착’시킬 것인지 살펴볼 때다.

지역대학의 소멸 위기에 대한 해법으로 강조됐던 산학협력도, 이제는 이러한 고민에서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는 게 아닐까.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