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별 기상 시간과 취침 시간 및 총 수면시간. KAIST 제공
나라별 기상 시간과 취침 시간 및 총 수면시간. KAIST 제공

[충청투데이 한유영 기자] KAIST, 기초과학연구원(IBS), 노키아 벨연구소 공동연구팀이 스마트 워치 로그기록을 통해 지리와 문화적 요인이 수면의 양과 질을 절반이나 결정하는 사실을 확인했다.

6일 KAIST에 따르면 차미영 KAIST 전산학부 교수는 IBS 연구팀과 영국의 노키아 벨 연구소(Nokia Bell Labs)와의 공동 연구에서 스마트 워치가 상용화되며 데이터의 대량 수집이 가능해진 기회에 주목해 노키아에서 개발한 스마트 워치를 착용한 미국, 캐나다, 스페인, 영국, 핀란드, 한국, 일본을 포함 11개국의 3만 82명으로부터 4년간 수집한 5200만건의 데이터를 분석해 나라별 디지털 로그 기반 수면 패턴을 분석했다.

스마트워치 데이터에 기록된 취침 시간은 기존 설문지 기반 조사에 보고된 결과 대비 나라마다 수십 분에서 한 시간까지도 늦었다. 전 세계 평균 취침 시간은 자정(00:01)이고 기상 시간은 오전 7시 42분이었다.

취침 시간은 지리적 문화적 영향을 상당히 받았다. 국민 소득(GDP)이 높을수록 취침 시간이 늦어졌고 문화적으로 개인주의보다는 집단주의 지수가 높을수록 취침 시간이 늦었다.

운동량은 수면의 질을 개선하지만 총 수면시간을 늘리지는 않았다. 운동의 긍정적 효과는 국가별로 달랐고 특히 미국과 핀란드에서 효과가 강하게 나타난 반면 일본에서는 운동의 효과가 미미했다.

박성규 강원대 교수, 차미영 KAIST 교수, 노키아 연구소의 퀘르시아 박사가 주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출판 그룹의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다.

한유영 기자 yyh@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