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월동꿀벌 피해 조기회복·재발방지 대책 발표
100만 봉군 폐사피해 추산… 원인으론 "농가 방제 실패"
‘기후 변화’ 관련성엔 직접적 연관성 없다며 선 긋기
농가 "정부 추산보다 피해 더 크고 기후변화 영향 커"

충남농업기술원 산업곤충연구소 관계자가 꿀벌이 집단 폐사한 벌통 속 벌집을 확인하고 있다. 사진=김지현 기자
충남농업기술원 산업곤충연구소 관계자가 꿀벌이 집단 폐사한 벌통 속 벌집을 확인하고 있다. 사진=김지현 기자

[충청투데이 김중곤 기자] 정부가 꿀벌 집단 폐사의 원인을 기후변화가 아닌 농가의 ‘방제 실패’로 돌리면서 지역 양봉농가가 분노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1일 ‘월동꿀벌 피해 조기회복 및 재발방지대책’을 발표했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전국에서 약 100만 봉군(벌통) 가까이 폐사 피해를 입었다고 추산했다. 2021~2022년 동절기에 전체의 14.9%에 해당하는 40~50만 봉군, 이번 동절기 전인 9~11월 다시 한 번 비슷한 규모에서 피해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꿀벌 사육규모는 지난해 12월 기준 247만 봉군으로 전년 동월(269만)보다 8.2% 감소했는데, 양봉산업 유지에는 큰 문제가 없는 수준이라는 것이 농식품부의 설명이다.

100만 봉군에 육박하는 꿀벌 집단 폐사의 주 원인으로 이날 농식품부가 지목한 것은 농가의 방제 실패다.

플루발리네이트 등 특정 방제제가 장기간 널리 사용되며 이에 내성이 생긴 응애(진드기)가 확산해 꿀벌 피해가 커졌다는 것이다.

또 농식품부는 통상 6월까지 채밀을 마치고 7월부터 방제에 들어가야 하나, 일부 농가의 경우 꿀이나 로열젤리 등 양봉산물 추가 생산을 위해 방제를 충분히 하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특히 집단 폐사 사태가 터진 지난해 초 양봉 농가가 원인으로 꼽은 기후변화에 대해서는 ‘직접적 연관성이 입증되지 않았다’고 못 박았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일부 관리를 잘한 농가는 거의 피해를 입지 않았다"며 "이런 사례를 볼 때 기후변화보다 내성 응애 방제가 제대로 안 된 결과라고 결론 냈다"고 설명했다.

지역 양봉농가는 농식품부의 이같은 발표에 대해 분통을 터트리고 있다. 꿀벌 폐사 피해는 정부 추산보다 클뿐더러, 그 책임도 농가에 돌려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승우 양봉협회 충남지회장은 "정부는 봉군을 피해 기준으로 삼고 있는데, 실제 벌통 안에 있는 벌을 비교하면 10%가 아닌 50~60%가 사라졌다고 봐야 한다"고 비판했다.

피해 원인으로는 기후변화가 가장 크다고 강조했다.

이 지회장은 "날이 따뜻하니까 10월 전에 마쳐야 할 산란을 12월까지 한다"며 "그러면 겨울에 태어나는데 춥다 보니 제대로 자라질 못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농식품부는 꿀벌 폐사 방지대책으로 △분봉(다른 봉군으로 꿀벌 이동) 촉진 △대대적 응애 방제 △농가 시설 현대화 △연구 개발 및 품종 개량 등을 제시했다.

충남도는 이달 말까지 도내 양봉 농가 2646호를 대상으로 월동 중 폐사 현황을 조사할 계획이다.

김중곤 기자 kgony@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