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길식 명예기자

사상초유의 코로나19가 인간에 창궐(猖獗)하여 팬데믹에 갇혀 전 세계가 급작스러운 변화를 겪은 가운데 우리의 삶을 송두리째 바꿔 놓았지만 계절 앞에는 코로나도 막지 못하여 민족 최대 고유명절인 추석이 코앞에 다가왔다. 추석에는 모처럼 온 가족이 한데모여 조상님께 정성으로 준비한 제물로 차례를 지내고 덕담으로 시간가는 줄 모르지만 아직도 세간에 회자되는 내리사랑은 있어도 치사랑은 없다고 흔히들 말한다.

내리사랑과 치사랑의 사전적 의미는 ‘내리사랑’은 손윗사람이 손아래 사람에 대한 사랑, 특히 자식에 대한 부모의 사랑을 말하고, ‘치사랑’은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사랑하기는 좀처럼 어렵다는 말이다. 즉 내리사랑과 치사랑은 사랑을 주는 방향이 정 반대다.

요즈음 내리사랑은 일상에서 자주 접하지만 치사랑은 녹록지 않아 보인다. 더욱이 핵가족화에 나만의 편리함만을 추구함이 팽배하다 보니 사회 공동체에 대한 관심이 점점 멀어지면서 내리사랑 그 마저도 위태로움을 느끼는 시대인 것은 아닌지 곱씹어봐야 한다. 치사랑을 높이기 위해서는 효 교육을 통한 성숙한 의식 변화를 추구함이 시대정신이 요청하는 대목이다. 올 추석 명절에도 예외 없이 자식을 위해 무한봉사 헌신하시는 부모님을 찾아뵙고 조상님께 차례를 지내기 위해 민족 대이동하는 모습을 보면 ‘조상 없는 자손 없고, 뿌리 없는 나무 없듯’ 부모와 자식 간의 끈끈한 정과 사랑이 남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혼인하기 전에 어르신들께서 ‘너도 장가가서 애 낳고 길러봐라 그러면 부모마음을 알게 된 다’라는 이야기를 듣곤 했다. 가정을 이루고 아이를 낳아 기르다보면 부모의 헌신적인 사랑을 알게 된다는 뜻이다. 자식은 낳기만 하면 저절로 크는 줄 알았다. 불교경전에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부모를 공경하고 봉양하는 것이 효심을 강조하고 효가 모든 선(善)의 으뜸이고 수행의 기준이 됨에 따라 태아의 잉태부터 출산과 성장과정에 이르기까지 어머님의 사랑과 고통을 담은 10가지 은혜를 제시한 핵심 골자로 평생 부모님의 은혜에 보은(報恩)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한국효문화진흥원이 추진하는‘찾아가는 효 문화교육’에 필자가‘효란 무엇인가’에 대해 학생들에게 질문하면 대부분의 학생들은 알지 못하고 알아도 실천 못한 원인을 직시하여 눈높이에 맞춰 알기 쉽고 재밌게 강의하면 공감과 소통으로 학생들의 수업 태도가 현저히 달라짐을 느낄 수 있다. 효란 어버이를 섬기는 마음으로 상호적 배려와 존중으로 사랑과 공경이 오늘날 효가 추구해야할 방향이라고 본다. 그럼에도‘내리사랑은 있어도 치사랑은 없다’는 말이 세간에 회자되는 현실을 접하면서 우리들은 부모님의 헌신적인 사랑을 영원히 알지 못한 채 살아가는 존재들인가 보다. 이번 추석에는 부모는 자식을 사랑하고 자식은 부모님을 사랑과 공경하는 마음으로 아름다운 전통을 이어가는 계기가 되어 내리사랑과 치사랑을 생활화하기 위해 부자자효(父慈子孝)인 효 교육이 미래를 향한 첩경(捷徑)인 동시에 당위성이 제기되는 이유로 결국 부모와 자식은 혈연관계이자 천륜이기 때문이다. 명예기자 이길식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