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특구 내 출연연 분원 61곳, 전국 곳곳에…경쟁력 약화 우려
자연스런 흐름, 묘안 찾아야…대전, 오래된 R&D자원 축적
딥테크 사업화 등 경쟁력 갖춰, 연축지구·대덕특구 거점으로
과학자산 연결…지역 주도 필요

[혁신도시 대전과 ‘짐’ 싸는 출연연]
글 싣는 순서
<상> 빛 바랜 R&D 전초지, 대덕특구
<중> 연축지구 과학기관 이전, 대덕특구 담장 '관건' 
<하> 과학정책 라인업 구축…리뉴얼 과학도시 대전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대전이 진정한 혁신도시이자 과학도시로 거듭나기 위해선 전국 각 지역의 공공 R&D 허브가 돼야 한다. 동시에 대덕특구와 연축지구를 거점으로 지역 자산을 연결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전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해야 한다.

◆출연연 지역분원 확장…어쩌면 당연한 진화과정

현재 대덕특구 내 26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 중 지역 분원은 61개로 전국 곳곳에 분포해 있다. 타 지역의 분원 유치 경쟁이 과열됨에 따라 그간 대전에선 문어발식 분원 확장, 대덕특구 경쟁력 약화 등이라는 우려가 따랐다.

하지만 혁신도시 지정, 강소형 연구개발특구 출범, 행정수도 세종 등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도 이를 무조건적으로 막기엔 현실적인 명분이 약해지고 있다.

어쩌면 대덕특구는 출범 50여 년간 이미 포화를 이뤘고, 지역혁신 기반의 과학기술역량이 강조되며 시대적 흐름에 따른 당연한 진화 과정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다만 대전은 이제 대덕특구 본원, 더 나아가 국가 R&D 중심에서 전국 각 지역에 파급효과를 확산시킬 수 있는 연결망을 확충해야 한다.

사진 = 충청투데이 DB
사진 = 충청투데이 DB

◆대전, 고부가 첨단기술 사업화 경쟁력↑

특히 고부가 첨단기술(딥테크)의 사업화의 경우 타 지역에서 출연연 분원을 유치한다 해도 결국은 한계가 있다.

이는 역으로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R&D 자원을 축적하고 있는 대전만의 경쟁력으로도 볼 수 있다.

이를 위해선 산업적 기반을 다져야 하는데 기술 사업화를 위해 현실적으로 필요한 실증, 테스트베드, 기술금융, 연구개발서비스 등 다양한 관련 기업을 육성이 더 시급하다.

공공기관 이전도 중요하지만 대전은 이제 한 단계 더 나아갈 때다.

◆연축지구, ‘각개전투’냐, ‘대동단결’이냐

연축지구가 대덕특구의 핸디캡이었던 중앙정부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지방정부 주도 아래, 어떻게 과학도시 대전을 새롭게 탈바꿈할 지 일단 기대감이 크다. 그간 국가 과학기술 정책은 중앙 위주의 설계에 의해 탑다운 방식으로 추진되며 지역 차원의 설계와 기획, 투자효과 분석이 이뤄지지 못했다.

혁신도시 역시 그동안 그랬듯 중앙정부에서 지정하고, 공공기관 이전도 중앙이 결정하는 방식이라면 과거의 틀을 벗어나기 어렵다.

이제는 지역 차원에서 대덕특구, 과학비즈니스벨트, 스타트업 파크, 바이오메디컬규제 자유특구, 원도심 재생사업 등 지역 현안을 과학기술적 접근으로 연결할 수 있는 자체 역량을 키워야 한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