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수소경제, 충남 미래성장동력 해법 될까?
운송·저장 분야 기술력 등 한계
수소 충전소 설치 비용 30억 꼴
전기세 등 연간 유지비 2억 ↑
道 “규정 정립·연구개발 절실”

<글 싣는 순서>
上. 수소법 공포, 전초전 나선 충남 향방은
中. 고배 마신 신(新)사업, 재도약 가능성
下. 정부 정책 구체화 과정·기술력 등 관건

[충청투데이 조선교 기자] 국내 수소산업이 초기 단계에 진입한 가운데 관련 인프라 구축이 큰 과제로 남게 됐다.

정부는 핵심 인프라로 꼽히는 수소충전소를 대폭 늘려나가겠다는 입장이지만 현 시점에선 운송·저장 분야의 한계로 충전소 운영 시 대규모 적자를 떠안아야 하는 실정이다.

특히 해당 분야에 대한 관련 규정 미비와 기술력의 한계가 수소 가격 정상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충남도에 따르면 도내 수소 차량은 785대로 충전소는 내포충전소 단 한 곳이 운영 중이며 2022년까지 20개소 구축을 목표로 관련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충전소 설치사업이 본격적으로 절차에 들어갔거나 가시화된 곳은 지역별로 천안 3개소, 아산·당진 2개소, 보령·서산 1개소 등 모두 9개소다.

각 충전소당 설치 비용은 30억원 꼴로 설치 이후에도 연간 2~3억원(탱크로리 운송 기준)의 운영비가 투입된다는 게 실무진의 설명이다.

문제는 현 시점에선 수소 공급 가격이 정상화되지 않아 설치 이후에도 수 억원대의 적자를 면치 못한다는 점이다.

내포충전소의 경우 수소 충전 가격이 1㎏당 7850원으로 마진 없이 탱크로리 차량(튜브트레일러)으로 가져오는 유통 원가와 동일한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

손익분기점을 넘기기 위해선 1㎏당 1500원(하루 250㎏ 공급 기준) 가량을 더 받아야 하지만 그럴 경우 휘발유 가격(1ℓ당 1348원 기준)을 넘어서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해당 충전소에는 연간 2억원 규모의 운영비와 전기세 등이 투입되고 있지만 이익은 발생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가장 큰 원인은 운송 과정에서 생산 비용 만큼의 예산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부생수소를 생산하는 데에는 1㎏당 3000원 수준의 비용이 발생하지만 탱크로리 운송 과정에 3000원, 또다시 충전 과정에서 3000원 가량이 투입된다.

충전소 고압 설비의 일부 부품도 해외 수입에 의존하게 되면서 연간 유지 보수비 1억원 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도는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선 정부의 조속한 관련 규정 정립과 연구개발(R&D)을 통한 기술력 향상이 절실하다는 입장이다.

이창현 단국대 에너지공학과 교수는 “현재 수소차량 보급 대수로는 적자를 피할 수 없고 10만대 이상이 보급돼야 가격이 정상화될 것”이라며 “당장은 경제성이 맞지 않다는 오해가 있을 수 있지만 적자를 보더라도 차량과 인프라 보급을 늘려나가는 게 해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에 수소생산 기술에 대해선 대표 주자가 없는 상태”라며 “지금은 탱크로리로 수송할 수밖에 없지만 수전해 등 현장에서 수소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상용화 기술이 확보된다면 충전소 모델 자체가 바뀌고 운송에 따른 이슈는 또다른 얘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끝>

조선교 기자 mission@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