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창 일 건양대학교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
[투데이춘추]

국제연합(UN)의 기준에 따르면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해당 국가를 고령화 사회로 분류한다. 또한 65세 인구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다시 20% 이상까지 올라가면 해당 국가를 후기고령사회 또는 초고령사회로 구분하고 있다. 최근 국제 신용평가회사인 무디스(moodys)가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 독일, 이탈리아가 노인인구 20% 이상인 초고령 사회에 이미 진입했으며, 2030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초고령사회에 돌입하는 국가가 무려 34개국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많은 국가들이 고령화 문제에 직면해 있지만 고령화가 가장 심각한 곳은 바로 한국이다. 경제개발협력기구(OECD)의 보고서 역시 '한국은 향후 50년 이내 가장 노인이 많은 나라로 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노인 인구가 증가하고 초고령 사회로 빠르게 변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이는 단순하게 '어쩔수 없는 현상'의 차원을 넘어 '사회적인 위기'로 비화될 수 있다.

고령인구의 취약한 건강상태에 따른 의료비 증가가 각종 보험재정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나아가 국가의 전반적인 복지분야 재정에 악영향으로 미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노인 진료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4년도 전체 진료비의 36%를 차지하고 있다. 만성질환으로 병원을 자주 찾게되고 또 병원에서의 연명치료 등은 의료비가 상승하는 가장 큰 원인이다. 이러한 의료비 부담을 다음 세대가 떠안아야 하는데 감당할 수 있을지 벌써부터 걱정이다.

우리나라는 올해 당장 약 128조원의 의료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건강한 노년생활과 의료비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노인에게서 잘 발생하는 질병을 미리 예방하고 퇴치하는 범국민적 운동이 필요하다. 노인에게 흔히 발생되는 질환은 꾸준한 운동과 식이요법으로 대부분 치료와 예방이 가능하다. 하지만 운동과 식생활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은 정기적인 건강검진이다. 한국사람 3명 중 1명은 암에 걸리고 뇌혈관질환이나 심혈관질환 사망률이 매우 높으며 치료를 받는다고 해도 돌이킬 수 없는 후유증이 남기도 한다. 특히 65세 이상 남자에서 모든 암 중 폐암의 사망률이 가장 높기때문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

이제 우리나라는 모든 사회적 현상에서 노인의 건강문제를 빼놓을 수 없다. 젊었을 때부터 건강을 챙기는 것이야말로 초고령사회를 대비하는 가장 중요한 핵심이다. 노년의 행복을 가꾸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