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신고 2배 가량 증가 반면 부실운영 태반… 상담 전문성 ↓

대학 내 성희롱·성폭력 신고가 최근 2배 가량 증가했지만 상당수 대학들이 성폭력 업무와 관련 전담인력 배치에 대한 인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담인력이 배치된 곳도 대부분 계약직 신분으로 운영하고 있는 데다 업무 과중으로 인해 실질적인 상담 전문성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23일 여성가족부가 한국대학성평등상담소협의회에 연구를 의뢰해 전국 95개 대학 대상으로 실시한 '대학성폭력피해자 지원 및 사건처리 현황 실태조사'에 따르면 2013~2015년 7월 사이 대학의 성희롱·성폭력 접수사건 수는 평균 2.48건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2년 국가인권위원회 조사결과인 1.18건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접수 사건들 중 학생 간 사건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교직원과 학생 간 사건이었다.

피해자는 학부생(78.9%)이 가장 많았으며 대학원생(10.5%), 조교(8.4%), 비정규직 직원 순으로 집계됐다. 주요 피해 형태는 언어적 성희롱(26.9%), 신체적 성희롱(24.2%), 강제추행(20.9%) 등의 순이다.

발생 장소는 학외 유흥공간(31.6%)이 가장 많았고, 도서관 등 학내 공공장소(25.3%), 연구실(20%), MT 및 답사 등 숙박시설(17.9%) 등의 공간 순이었다.

사건처리 과정에서 피해자가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은 신분노출, 소문 등 불이익에 대한 두려움(87.5%)이 가장 많이 호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학 내 성폭력 업무 전담인력 배치율은 13.7%에 불과했다.

특히 담당자의 과반수 이상(53.7%)이 기간제 계약직 직원으로 성폭력 사건 처리의 전문성과 업무 연속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실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교, 인턴 등의 인력없이 상담원이 여러 가지 업무를 병행하고 있어 상담 및 보호 업무에 전문성을 담보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에 놓여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성폭력 업무담당 실무자로서 현장에서 느끼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전문 인력의 부족(40.4%)과 과중한 업무(37.9%)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여성가족부는 성폭력사건처리 업무의 일관성과 지속성 확보를 돕기 위해 '대학 성폭력 피해자 지원 및 사건처리 매뉴얼'을 제작해 전국 432개 대학에 배포할 게획이다.

강은경 기자 ekkang@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