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남도가 환황해권시대를 맞아 당진항과 대산항, 보령신항을 3대 특화항만으로 육성하기로 했다. 당진항은 제철과 철강 전용항, 대산항은 컨테이너 전용부두, 보령신항은 해양관광과 레저 중심의 복합항만을 각각 조성하는 개념이다. 우선 지역별 특화 전략이 목표로 읽힌다. 그러면서도 전체적인 공간 개념으로는 서해 항만을 물류, 산업, 생활 등 다기능복합 산업공간으로서의 의미를 배치했다는데 주목한다.

충청권 항만은 중국의 연안 산업벨트와 최단거리에 있는 지리적 특성상 국내 다른 지역보다는 비교우위에 있다. 중국이 세계 공장이라는 생산 기능은 물론 거대한 소비시장으로서의 역할을 하면서 아시아 물류시장의 성장세를 견인하고 있는 추세다. 거기에 걸맞은 충남도의 물류환경 및 잠재력을 두루 반영하는 항만 전략이 필수적이다. 부가 가치가 높은 분야에 대한 '선택과 집중' 방안이 그중 하나다.

당진항이 부상하고 있는 요인으로는 수도권과 가깝고, 대형선박도 상시 접근할 수 있는 천혜의 인프라를 갖췄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대량 물류 수송 여건에다 제철과 철강도시, 배후 산단의 활성화에 힘입어 상업항 기능의 개발 압력이 크다. 대산항 또한 중국, 동남아 등지의 항만을 경유하는 컨테이너 전용부두로서 국제적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보령신항도 레저·마리나·크루즈 등 복합항만으로 콘셉트를 잡았다.

그간 논란 끝에 각 항만별 기능을 설정한 만큼 이제는 이를 어떻게 구체화하느냐가 관건이다. 충남도 구상을 국가항만기본계획에 반영하는 절차를 관철시키는 것만으로 끝나는 게 아니다. 그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사업 추진을 위한 재정확보 등 후속 절차를 밟아야 하는 만큼 손을 놓고 있을 수는 없다. 인천, 경기, 전라, 부산, 강원 등 전국 각 지역별로 특화항만 경쟁 열풍이 만만치 않는 것도 부담이다.

충남도의 정책 추진 역량이 도마 위에 올랐다. 그간 서해안의 우수한 전략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막상 실현성 차원에선 늘 뒷전으로 밀려나기 일쑤였다. '서해안권 종합발전계획'과 '서해안 관광개발 사업'만 봐도 거창한 그림만 그려놨을 뿐이다. 기약조차 없이 그대로 표류하고 있다. 특화항만 구상도 그런 전철을 밟지 않도록 미리미리 대비해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