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역사 장애인 추락 사고
CCTV 촬영불구 인지 못해
승객들 구조한후 사실 파악
역무원 인력구조 문제 많아

<속보>=대전도시철도 대전역사에서 장애인의 선로 추락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당시 역사 내 역무원들이 사고발생 사실조차 늦게 인지하면서 초기대응에 각종 문제점을 드러낸 것으로 확인됐다. <6일자 6면 보도>

지난 9월 서울 이수역에서 승객이 열차와 스크린도어 사이에 끼여 사망하는 등 도시철도 사고는 시민의 생명과 직결돼 있지만 정작 대전도시철도공사와 22개 일선 역사는 안전사고 예방에 취약해 시민안전에 비상이 걸렸다는 지적이다.

6일 본보 취재결과 사고가 발생한 대전도시철도 대전역사 측은 사고자가 안전문(스크린도어)을 수차례 가격하는 등 이상행동을 보인 후 6분이 지난 시점에서야 관련 조치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 CCTV 기록에 따르면 사고자는 5일 오후 7시6분 승강장 내부에서 난동을 부리기 시작했다. 이후 오후 7시9분 전동휠체어를 안전문에 충격해 선로에 떨어졌고, 다시 3분 뒤 승강장에 위치한 승객들에 의해 구조됐다.

문제는 이 6분 동안 대전역사 측은 사고자의 난동부터 선로추락까지 모든 과정을 인지조차 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당시 대전역 승강장에 위치한 CCTV는 사고영상을 고스란히 역무실에 비추고 있었지만 정작 역무실 내부 역무원은 이를 제대로 관찰하지 않았다. 심지어 대전역사 측은 신고를 통해 사고사실을 인지, 승객들이 사고자를 구조하는 과정에도 전혀 참여하지 못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대해 대전역사 관계자는 “오후 7시12분 무렵 승객이 역무실로 올라와 사고가 났다고 얘기했다”며 “역무원이 현장에 내려가 보니 이미 사고자를 구한 뒤였다”고 털어놨다. 대전역사 측이 당시 사고발생사실을 전혀 인지하지 못했던 만큼 시민들의 구조가 늦어졌다면 다른 객차의 진입으로 자칫 대형 인명사고로까지 이어질 수 있었던 급박한 상황이었던 셈이다.

이 사태의 근본적 원인으로 지적되는 것은 역무원의 불성실한 근무태도. 여기에 대전역사을 비롯해 대전지역 일선 도시철도역의 ‘부실한 인력구조’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는 지적이다. 대전 도시철도의 역사는 모두 22개로, 여기에 배치된 역무원은 총 203명이다. 평균 9명의 인원이 배치되는 셈으로 일견 적지 않아 보이지만 역무원의 업무가 3조 순환근무로 이뤄진다는 것을 감안하면 시간대별 근무 인력은 단 3명 선에 불과하다.

대전역사도 역장 및 부역장을 포함해 배치된 역무원은 총 12명이지만 사건 당시인 오후 6시부터 오전 9시 시간대 근무인원은 3명뿐이었다.

순찰 및 승객안내 등 다른 업무 탓에 ‘승강장 상시배치’는 고사하고, 역무실 내 CCTV 확인도 통상 ‘창구담당 요원’ 1명이 담당하고 있다. 결국 승객발권 등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각종 사고사실을 놓칠 우려가 높을 수 밖에 없다. 한편 대전동부경찰서는 5일 대전역에서 난동을 부리고, 안전문을 전동휠체어로 들이받아 선로로 추락한 유모(58) 씨를 재물손괴 등의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다.

김영준 기자 kyj85@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