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포신도시의 공동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잇따라 제기되고 있다. 내포신도시 내 유관기관·단체의 이전은 지지부진하고, 기반시설 조성이 더딘데 따른 진단이다. 내포신도시가 유령도시로 전락할지 모른다는 주장이 나온 적도 있다. 내포신도시의 여파로 홍성·예산 역시 공동화 몸살을 앓고 있다.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겠으나 내포신도시에 울려 퍼진 '경고음'을 무시해서도 안 된다.

충남도의회 김용필 의원은 유관기관·단체 이전현황을 토대로 내포신도시 조기 정착에 우려를 표명했다. 충남도청 이전 후 유관기관·단체 이전현황을 보면 128개 기관·단체 중 현재까지 57개만이 이전한 것으로 밝혀졌다. 연도별로는 2012년에 31곳, 2013년 21곳, 올해 5곳으로 점차 줄어드는 추세다. 도는 당초 이전 대상 기관을 136개로 잡았다가 128개로 줄였다고 한다. 중요한 건 이전 기관수가 아니라 규모 있는 기관이 얼마나 입주하느냐다.

입주를 아직 하지 않은 기관 중에는 입주를 아예 포기하거나 입주에 부정적인 곳도 있다고 한다. 대한적십자사 충남지사와 재향군인회 등은 이미 대전에 청사를 신축한 터여서 내포신도시로의 이전이 쉽지 않다. 내년에 7개 기관·단체가 이전할 뜻을 내비쳤지만 장담할 수 없다. 기관입주 실적만 가지고 내포신도시를 평가하는 건 무리다. 문제는 민간부문의 입주가 기대치를 밑돈다는 점이다.

신도시 조기 정착의 최우선 요소로 인구유입을 꼽을 수 있다. 도는 2020년까지 인구 10만명의 신도시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정주여건이 갖춰지면 인구는 저절로 늘어날 것이다. 하지만 일부 유관기관·단체가 이전했을 뿐 대규모 인구 유입이 가능한 민간부분은 이전을 하지 않고 있다. 기업이나 대학, 병원, 대형마트들이 내포신도시에 매력을 못 느낀다는 것이다. 이대로라면 인구 10만 도시는 언감생심이다.

내포신도시에 둥지를 틀수 있게끔 유인책을 내놔야 한다. 필요에 의해서 자발적으로 들어오게 하는 거다. 전남도청 신도시는 개청 7년 만에 인구 4만명의 도시로 성장했다. 여기에는 신청사 건립비용을 전액 국가가 지원하는 등 전폭적인 지원이 한 몫 했다. 벤치마킹할 게 있다면 배워야 한다. 내포신도시가 처한 현실을 냉철히 진단하고 대책을 세워야겠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