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
이연우 공주대학교 객원교수

기호유학과 영남유학은 한국유학의 양대 산맥이라고 할 수 있다. 기호유학은 영남(경북)유학을 제외한 모든 지역 즉 경기도, 황해도, 충청도, 호남지방 모두를 아우르는 개념이기도 하다.

영남유학이 크게 이념지향적인 반면, 기호유학은 현실지향적인 성격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퇴계 이후, 영남유학은 불합리한 현실을 개선하려고 노력하기보다는 불합리한 현실 속에서 성리학의 이념적 순수성을 지키기 위해 노력한 반면, 기호유학은 개인의 이념적 순수성을 지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불합리한 현실을 개선하고, 타개하는 것이 도리라고 보았다.

남명 조식의 ‘무진봉사’, 율곡 이이의 ‘갑술봉사’, 초려 이유태의 ‘기해봉사’가 이를 잘 나타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혹자는 조선 성리학이 학문적으로 중국보다 훨씬 더 뛰어나다고 평가하기도 하고, 혹은 유교문화는 전근대적, 보수적, 공리공론, 비실용성, 당파성의 이유를 들어 망국의 원인이라고 폄훼하기도 하지만, 조선시기는 누가 뭐래도 ‘도덕과 지성’이 존중된 사회였다.

현대 인문학의 수준과는 비교도 안 될 만큼 방대한 문집과 사상의 논쟁이 바로, 그것이다.

그들은 또한 인륜과 왕도정치, 성현이 추구했던 도덕집단이기도 했다. 당쟁과 사화를 객관적으로 보면 ‘비판과 공론’을 통한 민의 대변이기도 했다.

최근, 인문학 열풍과 2010년 영남유교문화권개발에 2조 3000억원의 투자를 지켜본 충청권 4개 광역지자체에서 뒤늦게 충청(기호)유교문화권개발을 무슨 선거공약사업 추진하듯이 나서고 있는데, 여전히 관 주도로 기본계획 수립에서부터 연구, 보존 및 학술대회까지 총괄하고 있음에 유림과 문중과 일반의 논의는 뒷전으로 미뤄놓고 있는 것을 지역이 먼저, 문제를 제기하고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또, 충남도의 ‘충청유교문화원’ 설립에 참여와 추진에 있어서도 다른 지자체들의 반론도 이해하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혼자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제, 다음 달 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늦게 정책토론회를 개최한다고 하는데 중앙언론의 중요한 역할을 간과했고, 유림·문중·일반시민의 참여는 사실상 홍보가 되지 않고 있음을 다시 지적한다.

결국 ‘예산의 확보’가 관건인데 공무원들이 국회의원들을 찾아다니며 이해시키고 설득하기가 쉽겠는지도 다시 한 번 묻는다.

그리고 문중과 서원, 향교의 유림들은 본래부터 자기들 일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그들의 동기부여는 차치하고 참여의 길은 아예 막혀있다고 보는데 사실인가?

지역, 지자체, 대학, 시민들의 공동기획ㆍ공동참여ㆍ공동추진은 구호가 아니다. 그것은 실천의 문제지, 행동으로 보여주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는 것을 재차 묻는 것이다.

그래서 지역의 유관기관 및 관련단체들과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제안하는 것이다.

대학의 교수들은 현실과 현장의 관심과 참여를 지자체에게 맡길 수밖에 없다. 개인적으로 수차례 유림, 문중과 민간의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 제안하였었는데에도 그것이 무슨 지자체 혼자만의 목적사업으로 인식, 자료와 정보제공조차도 공유하지 않고 있음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그것이 바로, 우리의 일인데에도 말이다. 그 월급조차도 우리가 내고 있는데, 공무원들에게 영혼이 있느냐고 묻는 것은 이제 지나간 이야기가 됐지만 그들의 철옹성을 누가 깰 수 있겠는지 가만히 앉아 있어서는 그 대책이 묘연하다.

다시 한 번 적어도 충청지역에서 만큼은 언론의 인터뷰, 전문가 좌담회 등의 개최를 통하여 사실을 더 넓게 알리고, 문제를 제기하여 지역의 공동목표를 정해야 한다.

그리고 상시적이 아니더라도 매 분기 1회씩은 유림, 문중 대표들과의 간담회를 통하여 공동참여의 명분을 제시해 줘야 할 책임도 부연한다. 그것이, 충청(기호)유교문화권종합개발계획에 충청권에서 부터 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해야만 그들이 조상의 일이기 때문에 나서서 국회의원도 찾아가서 만나고, 기자들에게도 압력을 넣을 수 있다. 왜 언론에서는 가만히 있느냐고.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