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밸리를 '경제과학특구'로 지정하자는 논의가 점차 탄력을 받고 있다. 이승구 과학기술부 차관은 그제 대전에서 열린 '2003 과학인을 위한 신년교례회'에 참석, "과기부는 대덕연구단지를 경제과학특구로 지정해 동북아 R&D 허브(연구개발 중심지)로 육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덕밸리 중견과학기술자 모임인 대덕클럽과 대덕밸리 벤처연합회의 긴급 좌담회에서 불거져 나온 경제과학특구 지정의 필요성이 점차 가시화되고 있음을 느끼게 한다.

대덕밸리에 대한 특구지정 문제는 최근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발표한 국정 10대 과제에도 '과학기술 중심사회 구축' 및 '지방분권과 국가균형발전' 문제가 포함돼 있어 새 정부의 정책방향과도 일치한다는 것이 우리의 생각이다. 과기부 차원에서 경제과학 특구지정과 관련 다양한 시책을 구상하고 있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럽다.

대덕밸리는 이미 경제과학특구로서의 조건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 올해로 30주년을 맞는 대덕연구단지는 우리 나라 과학기술의 요람이다. 현재 18개 정부출연연구기관과 27개 민간기업연구소 등 모두 116개 기관이 자리잡고 있는 연구단지에는 1만5000여명의 고급 연구인력이 몰려 있다. 대덕연구단지 일대는 2000년 9월 대덕밸리로 선포됨으로써 본격적인 벤처산업의 메카로 거듭 태어나게 됐다.

지난 95년 40개에 불과 했던 벤처기업이 작년 말에는 1000여개로 증가하면서 수출실적도 4500만 달러를 기록할 정도로 급성장하고 있다. 2005년에는 이곳 벤처기업 수가 3000개로 늘고 총 매출액도 9조3000억원 달성은 무난할 것으로 보고 있다. 대덕밸리가 한국의 실리콘밸리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것도 신기술을 산업화할 수 있는 인프라를 충분히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실리콘밸리가 산·학 협력체제를 기반으로 연구 성과물을 상업화하는데 성공했듯이 대덕밸리 역시 대덕연구단지를 중심축으로 연구기능과 산업기능이 조화를 이루면서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해 낼 수 있어야 한다. 그러자면 경제과학특구의 지정으로 집중적이고도 조화로운 정책적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대덕밸리에 대한 과학특구의 지정은 행정수도의 충청권 이전과 관계 없이 과기부 등 관련부처의 대전 이전을 전제로 해야 한다. 대전이 명실공히 과학기술의 요람이요, 벤처기업의 메카인 이상 이를 중심으로 과학입국의 기치를 드높일 수 있어야 한다. 대덕밸리를 과학특구로 지정하자는 것은 단순히 대덕밸리의 발전만을 위해서가 아니다. 대덕밸리에 대한 정부의 배려는 곧 우리 나라 과학기술 발전을 선도하는 촉진제가 되리라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