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상공회의소(7) 13대 이종완 회장 개혁 추진

▲ 1987년 대통령 직선제 이후 대전상의를 증언해준 13대 이종완 회장.
1987년 '6월 민중항쟁'으로 얻어낸 대통령 직선제가 망국적인 지역감정과 민주 진영의 분열로 독재정권 연장이란 어이없는 결과로 나타난 가운데서도 1988년 새해는 희망차게 밝았다. 불과 10개월도 남지 않은 제24회 서울올림픽 개막이 새 시대에 대한 국민의 염원을 어느 정도 충족시켜 주고 있었기 때문이다.

대전상공회의소 제13대 의원 선거에서 영진건설산업㈜ 이종완 사장이 대전상공회의소 회장에 선임된 것은 바로 그해 4월이었다. 이 회장은 취임과 함께 신진규 당시 사무국장을 상근부회장으로 선임하는 등 상근부회장 제도를 첫 시행했고, 다소 방만했던 상의 구조조정에 나섰다.

"당시만 해도 재무부(현 재정경제부)나 여러 관에서 인사청탁이 많았습니다. 상의가 관의 눈치를 전혀 안 볼 수도 없는 상황이어서 외부에서 들어오는 인력이 많았던게 사실입니다. 인건비가 상의 전체 회비의 60∼70%를 점할 정도였으니까요. 인적 쇄신이 시대적 당위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습니다."

이 같은 이유로 이 회장은 재무부가 내정한 상근부회장 인선을 단호히 거부했다.

"외부 낙하산 인사는 직원 사기 저하의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그래서 신진규 사무국장을 상근부회장으로 승진시키는 형식을 취하게 된 겁니다."

외부 인사 청탁 근절과 함께 이 회장은 13∼14대 회장을 연임한 6년간 대전상의 인적 구조를 대대적으로 쇄신했다.

"취임 당시 46명이던 인력이 퇴임할 때쯤에는 33명으로 감소했습니다. 그러나 절대 인위적인 방법을 사용하지는 않았습니다. 외부 압력과 청탁에 의한 채용을 원칙적으로 차단하고, 퇴직 직원이 발생해도 신규 채용을 하지 않았습니다. 자연적인 감원책을 쓴 겁니다."

▲ 1991년 대전엑스포 상징탑 기공식(위)과 1990년 상의회관 건설추진위원회의.
이 회장이 이끄는 대전상의는 지방자치 시대 개막을 앞두고 공업용지 절대 부족에? 따른 산업구조 왜곡과 지역 금융산업 취약 현상 해소에도 적극적이었다.

"지금 와서 생각하면 근시안적이었다는 생각도 듭니다. 지방화 시대의 부푼 마음이 앞섰던 거죠."

이 회장은 충청은행, 대전투자금융, 대전생명보험에 이어 네 번째 지역 금융기관인 중앙투자신탁의 설립을 추진하게 된 계기에 대해 이같이 회고했다.

"상공인들에게 있어서 자금의 역외 유출은 물론 기업의 자금난 해소가 중대한 문제였습니다. 그래서 부산·대구·광주·인천·대전상의가 합동으로 지방에 본사를 둔 투자신탁회사 설립을 추진하게 된 겁니다. 당시 재무부 장관과 차관이 대전지역 출신이라는 인연으로 제가 앞장서서 이를 주도하게 됐습니다."

이에 대전상의는 기존 서울에 본사를 둔 투자신탁회사를 통한 지역 자금의 타지 유출을 억제하고, 지방기업의 발행사채를 우선적으로 인수해 지역 기업의 자금난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지방 투자신탁회사의 설립을 재무부, 국회 등 23개 관련 기관에 건의했다.

이어 각 직할시 상의의 합동 노력으로 지방 투자신탁회사 설립 인가를 얻어내 대전과 충남·북을 관할구역으로 한 중앙투자신탁㈜가 89년 11월 23일 영업을 개시하기에 이르렀다.

상의 쇄신과 중앙투신 설립을 이끈 이 회장은 재임 시절 지역 최대의 국제 행사인 93 대전엑스포를 맞이해 이를 지원하기 위한 시민역량 결집에 나서기도 했다.

? ?
"대전이 엑스포를 개최하겠다는 생각은 꿈에도 해 본 적이 없었습니다. 많은 우려 속에서도 서울올림픽이 대성공을 거둔게 엑스포 유치가 부각된 계기가 된 것 같습니다. 당시 경제기획원(현 기획예산처)에서 세운 예산으로는 엑스포의 성공 개최를 장담할 만한 수준이 아니었습니다. 오 명 엑스포추진위원장(현 과기부 장관)이 대기업들 쫓아 다니면서 홍보관을 대거 유치하는 추진력을 보여준 게 인상적입니다."

대전엑스포 성공 개최를 위해 이 회장은 민간 차원의 지원기구인 '범시민 대전엑스포추진 시협회" 창립을 주도했다. 이 회장은 이 협의회를 통해 지속적인 시민운동을 전개하는 한편, 국고 지원을 정부 및 국회에 꾸준히 촉구하는 등 성공적인 엑스포 개최의 숨은 조력자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제11대 이인구 회장 취임 이후부터 추진돼 오던 대전상의 회관 신축사업도 이종완 회장 재임 시절 부지 매입과 공사 발주가 이뤄지면서 본격화됐다고 할 수 있다.

"원래 둔산개발 당시 상의 부지는 현재 이마트 부지였습니다. 은행동 부지 매각이 세 차례나 유찰이 됐습니다. 그 와중에 둔산 부지를 계약했다가 계약금 10억원만 개인적으로 손해를 봐야 했습니다."

이에 이 회장을 위원장으로 한 회관건설추진위원회는 원매자가 나타났을 경우 수의계약으로 매각하되 매각 가격을 감정평가액 이상으로 높인다는 조건부로 재산 매각에 관한 일체의 권한을 회장단에게 일임키로 결정했다.

이로써 72년 제7대 홍광표 회장이 사재를 털어 회관 건물을 충남도로부터 매입하고, 82년 제11대 이인구 회장이 회관 부지 일부를 정부로부터 매입함으로써 완전히 해결을 본 대전상의 회관문제는 제14대 이종완 회장에 이르러 회관 이전 신축을 추진함으로써 비로소 상의 기능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는 전환점을 마련하게 됐다. <계속>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