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상금 지급안돼 사료마저 외상 구입

? ?
?
②?비틀거리는 축산농가

“올해 발생한 구제역으로 인해 가축을 매몰했던 축산농가 대부분이 재입식을 시도하고 있지만, 보상금이 마무리되지 않아 어렵습니다.”

장장길 양돈협회충남도지회장은 6일 충청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구제역으로 인해 큰 타격을 입은 도내 축산농가의 회복이 더디기만 하다며 큰 고심을 털어놨다.

장 회장은 “구제역이 발생한 지 반년이 흘렀지만 보상금이 제때 지급되지 않아 사료를 외상으로 구입하는 경우가 많다”며 “게다가 재입식을 해도 모돈 입식 후 돼지 판매는 1년이나 걸리기 때문에 수익성으로 바로 연결되지 않아 어려움이 크다”고 푸념했다.

충남도가 지난 4월 3일 홍성을 마지막으로 전 시·군의 이동제한을 해제한지 100여 일이 지났지만 여전히 축산농가들은 구제역의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폭발적인 구제역 발생으로 많은 가축이 한꺼번에 살처분됐지만, 피해 보상금이 늦어짐에 따라 재입식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충남도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현재 도내 구제역 피해 농가 427곳에 대한 보상금 1450억 원 가운데 66%인 950억 원만 지원됐다.

당초 도는 6월 중 피해 보상금 지급을 모두 완료해 축산농가의 회복을 돕는다는 계획이었으나, 6일 현재 피해 보상금 지급은 절반 조금 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 처럼 보상금이 늦어지는 것과 관련 도는 피해 규모가 방대하다 보니 살처분 당시 사육두수 등 농가의 피해 현황을 정확히 분석하지 못해 살처분 보상금의 정확한 액수를 추정하는 데 시간이 필요했다는 설명이다. 또 농림식품부로부터 피해 보상의 세부지침이 5월 중에 내려왔지만, 구제역에 대한 정부의 감사가 6월에 집중돼 보상 업무를 돌볼 여유가 없었다는 게 도의 해명이다.

보상금이 차일피일 늦어지며 가축을 모두 살처분한 농가들의 재입식 현실은 어둡기만 하다.

도 자료에 의하면 지난 5월 30일 현재 도내 전두수 가축살처분 농가 166개소 가운데 재입식을 완료한 농가는 총 70농가로 재입식률이 42%에 머물고 있다.

재입식이 늦어질 경우 농가들의 피해는 그만큼 길어질 것으로 보인다. 재입식 후 사육을 통해 다시 시장에 출하하기까지 1년 정도의 시일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도내 일부 축산농가는 아예 축산을 접고 오이 등의 작물 재배로 눈을 돌리는 경우도 있다. 게다가 구제역으로 인한 축산물 수급불균형도 축산농가의 재입식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구제역으로 상당수의 돼지가 매몰되며 돼지 가격이 치솟는 반면, 이동제한에 걸려 팔지 못한 소들이 일시에 풀려 소 값은 바닥을 치는 등 축산물 수급불균형으로 인한 시장 여건도 매몰차다.

김충완 한우협회충남도지회장은 “구제역 이동 제한이 풀리며 소가 대량 방출됨에 따라 제 값을 받지 못한다. 사료 값은 치솟고 식당이나 정육점 등 소비 가격은 내리지 않아 어려움이 크다”며 “게다가 FTA까지 발효돼 축산농가의 앞날은 더욱 불확실해 졌다”고 말했다.

도 관계자는 “구제역이 폭발적으로 발생하다 보니 사육두수 등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상태로 살처분했다. 사료 구매 등 역환산을 통해 살처분 보상금을 추정하느라 어려움이 있었다”며 “구제역 감사가 6월에 집중돼 업무를 원활히 추진하지 못했다. 7월 중 모든 보상금 지급을 완료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박재현 기자 gaemi@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