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 알' 품은 둥지

토지를 개발하는 방식은 대표적으로 대전 둔산지구나 노은지구 등에 적용됐던 택지개발 방식을 비롯해 유성 봉명지구나 중구 복수지구 등의 개발에 적용 시행된 구획정리 방식 외에도 주거환경개선사업 방식이 있다.

주거환경개선사업은 일반적으로 도시 저소득 주민이 집단으로 거주하는 지역으로 정비기반시설이 극히 열악하고 노후 불량 건축물이 과도하게 밀집한 지역에서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시행하는 방식이다.

현재 대전지역의 경우에는 일부 택지개발지구를 제외한 원도심 대부분 지역이 이 방식을 통해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이 공급될 예정에 있다.

이에 따라 노후 불량 주택이나 좁은 도로망 등의 도시 주거환경이 정리되고, 대단위 아파트 단지가 공급됨에 따라 유동 인구 증가나 세수증대 등의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대전 전역에 걸쳐 공동개량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는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가 새로운 투자처로 고려되고 있어 살펴본다.

◆동구 - 주거환경개선사업의 모델 제시

▲ 사업비 777억원이 투입되는 신흥 2지구는 2개 노선의 도로개설 사업 외에 721세대의 아파트가 공급될 계획으로 작년 6월에 착공, 현재 12% 가량의 공정이 이뤄지고 있다. (사진 위에서부터 착공 전 모습, 공사 중인 모습, 사업 완료 후 들어설 아파트 조감도)
대전에서 주거환경개선사업이 가장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곳은 가장 낙후된 지역이라는 동구지역이다.

이미 동구는 전국에서 주거환경개선사업이 가장 잘 이뤄지는 곳으로 건설교통부의 시찰을 비롯해 사업 진행 과정이나 방식 등에 대한 '노하우'를 벤치마킹하기 위해 충북, 울산, 광주 등 전국 22개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다녀 가지 않은 곳이 없을 정도로 모델이 되는 곳.

동구 주거환경개선사업은 대전 역세권 개발과 맞물려 반경 2㎞ 이내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역 중심의 대형 도시개발 프로젝트 완성과 함께 개발 기대감이 작용하는 지역이다.

현재 이 지역은 신흥2지구를 비롯해 인동, 삼성1, 천동1 지구 등이 도시의 '지도(地圖)'를 바꿀 채비를 갖추면서 활발한 사업이 진행 중이다.

주택건설 사업비만도 777억 여원이 투입되는 신흥2지구(4만 6500㎡)는 2개 노선의 도로개설 사업 외에 721세대의 아파트가 공급될 예정으로 이미 지난해 6월경 공사에 착공, 현재(2003년 말 기준) 12%가량의 공정이 이뤄지고 있다.

6만 1200㎡의 면적이 일대 변혁을 꿈꾸며 사업이 진행 중에 있는 인동지구는 75%의 보상협의 단계에 있으며, 965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돼 모두 813세대 규모의 아파트가 공급될 예정이다.

삼성1지구(2만 7800㎡) 역시 51%가량의 보상협의가 이뤄진 상태며 650세대 규모의 아파트 공급이 계획된 곳이다.

천동1지구는 오는 8월 보상이 시작될 예정으로 현재 진행 중인 동구지역의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 가운데 13만 7000㎡의 면적에 모두 1709세대의 아파트가 공급될 예정으로 가장 큰 규모인데다 사업비만도 1851억여원이 소요돼 부동산 투자지로서도 관심을 가져 볼 만한 사업지구이다.

화재나 내수침수 등의 위험을 동시에 안고 있는 이들 지역은 모두 공동개량 방식에 의한 주거환경개선이 이뤄지는 곳으로 주택공사와 지자체가 함께 사업 시행을 맡아 추진하고 있다.

또 이들 지역은 도시 밀집 해소를 위해 일반 아파트와 달리 'Open-space' 개념을 도입, 용적률을 최소화해 공원이나 주차장 등 주민 편익시설 중심의 공간 연출을 적극 활성화할 계획인 것으로 관계자는 설명했다.

동구 도시정비계 송진국 계장은 "다른 지역으로의 인구 전출보다 유입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는 동구를 만들겠다"며 동구지역 원도심 활성화에 강한 의지를 표명했다.

송 계장은 그러나 "주거환경개선사업이 늦어지지 않도록 경부고속철도의 도심 통과구간에 대한 지상화나 지하화 결정이 하루빨리 결정돼야 할 것"이라며 "이와 맞물려 동구지역의 발전 저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주택투기지역 및 투기과열지구 지정 역시 속히 해제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중구·유성구 - 목동2지구 · 봉산지구 지도 바꿔

대전에서 유일하게 주택투기지역 지정에서 제외돼 있는 중구지역은 현재 6개 지구에서 사업이 진행 중이다.

현재 각각 60%가량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는 부사2지구와 문화지구를 비롯해 공정률 30%인 대사2지구 등은 복지회관 건립, 도로개설 등의 현지개량 방식이 적용되는 곳이다.

최근까지 '용두동 사태'로 불리면서 주민들의 반발이 극심했던 용두1지구는 복합개량 방식이 도입, 사태 해결 이후 도로개설과 함께 모두 1135세대의 아파트 분양이 지난해 마무리된 상태다. 또 현재 40% 이상 공정률을 보이고 있는 이 지구는 2005년 10월경 사업이 마무리될 예정이다.

선화1지구(4만 5800㎡)는 주택공사와 사업 협약 준비 중에 있어 공동주택 공급 세대수는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올 상반기 중 개선계획 변경을 통해 하반기경 공동주택 건설사업이 예정돼 있는 목동2지구(8만 9800㎡)는 지난해 10월 주택공사와 협약을 체결, 총 사업비 85억원이 투입되며 당초 예정됐던 1256세대의 공급물량이 절반가량으로 축소될 전망이다.

도로개설이나 공원 등과 관련한 공정이 85%가량을 보이고 있는 이 사업지구는 예상 공급물량이 일부 주민들의 반발로 인해 줄어들 것으로 관계자는 설명했다.

유성지역의 경우 지난해 12월 사업승인이 이뤄진 봉산 1∼4지구는 속칭 '묵 마을'로 불리는 곳으로 사업비만도 모두 130억여원에 공동개량 방식이 도입돼 분양 990세대, 임대 853세대 등 모두 1843세대의 대단지 아파트가 공급될 계획이다.

▲ 분양 990세대, 임대 853세대 등 모두 1843세대의 대단지 아파트가 공급될 계획인 유성구 봉산지구. 봉산지구는 특히 대덕테크노밸리 사업단지와 인접해 있어 부동산투자 가치로서 기대감이 작용하는 곳으로 평가받고 있다. /지영철 기자
특히 14만 3000여㎡의 대규모 사업면적이 확정된 봉산지구는 현재 개발 붐이 일고 있는 대덕테크노밸리 사업단지와 인접해 있어 부동산투자 가치로서의 기대감이 작용하는 곳으로 평가받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이처럼 주거환경이 열악한 지역의 계획적인 정비로 도시기반시설 확충은 물론 노후·불량 주택 밀집지역의 전면 개량으로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키 위한 주거환경개선사업은 도심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데 그치지 않고 부동산의 가치 상승을 가져올 수 있다"며 "전체 사업이 완료되는 2010년경이면 둔산과 노은에 집중된 상업 편중적 현상도 어느 정도 균형을 이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