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방역당국 감염경로 놓고 이견 분분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는 조류독감 감염경로를 둘러싸고 전문가와 방역당국의 의견이 분분하다.

축산약품 전문가인 송영철 박사가 "논산 S농장에서도 조류독감 증세가 나타나는 등 이미 예견됐던 일"이라고 주장한 데 대해 충남도 등 방역당국은 "국내서는 처음이며 철새에 의한 감염일 것"이라고 반박했다.?

송 박사와 도 축산관계자들은 27일 오찬을 함께하는 자리에서 이 같은 논쟁을 벌였다.

송 박사는 "우리나라에서 사육되는 닭과 오리의 대부분은 외국에서 원원종을 수입해 원종과 실용계를 부화시켜 시중에 유통된다"며 "네덜란드, 미국 등 외국에서도 조류독감으로 많은 피해가 발생했듯이 우리나라에 수입되는 원원종에도 문제가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우리나라에 들어올 때 검역을 철저히 했더라도 바이러스가 잠복돼 있거나 내성인자가 부족해 원종과 실용계를 부화하는 과정에서 감염시켰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송 박사는 또 "일부 농장에서 조류독감의 증상과 비슷한 호흡곤란, 산란율 저하, 폐사 등으로 이어지는 현상이 나타났음에도 한번 발병하면 모두 살처분해야 하기 때문에 사실을 감출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충남도는 "지난 96년 경기도 화성에서 약병원성 증세가 있었지만 예견됐던 일은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도는 "외국에서 수입되는 원원종에 대한 검역을 철저히 하기 때문에 있을 수 없는 일이며, 지난 99년 서산AB지구 철새에게서 가금 콜레라가 발생했던 것으로 볼 때 철새에 의한 감염을 추정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그동안 닭의 폐사율 80%가 양계장의 비위생적인 환경으로 호흡기질병에 의한 것이며 단시일내(35일) 출하를 해야 하기 때문에 무리가 따를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송 박사와 도의 주장이 모두 설득력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방역당국에서 정확한 역학조사결과가 늦어질수록 근본적인 방역은 요원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공통된 해석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