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미래를 부양할 신성장동력 키워드로 '저탄소 녹색성장'이 제시된 것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 이미 G8국가들이 원천기술을 놓고 주도권 경쟁을 벌이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사실상 무자원 국가 입장에서 선택할 수 있는 최선의 길이기 때문이다. 녹색성장의 토대를 마련한 충청권으로서는 기대해 봄직한 모멘텀이다. 한국경제가 신형엔진을 장착하는 데 충청권의 역할이 그만큼 막중하다.

지식경제부와 신성장동력기획단, 콘텐츠코리아추진위원회는 어제 대전 전자통신연구원에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신성장동력 보고회를 열고 22개 분야를 최종선정했다. 참여정부의 10대 차세대 성장동력을 승계하면서 무공해 석탄에너지, 해양 바이오 연료, 태양전지, 이산화탄소 회수 및 자원화 등 녹색성장을 지향한 업그레이드형이다. 반도체와 자동차, 선박 등 십수 년간 한국경제를 지탱해 온 주력산업이 무한경쟁에 시달리며 정체된 만큼 신성장동력 발굴은 절박한 과제다. 신성장동력에 향후 5년 동안 99조 4000억 원을 투자하는 이유가 여기 있다.

국가십년대계를 추진하는 데 있어 거슬리는 대목도 눈에 띈다. 투자를 전담하다시피할 기업들이 글로벌 금융위기 속에서 정부의 입맛대로 선뜻 나서줄지 미지수다. 민간투자 유도 조건도 논란에 휘말릴 소지가 높다. 신성장동력기획단이 주문한 출자총액제도 폐지와 금산분리 완화만 봐도 그렇다. 출총제 폐지는 재벌의 문어발식 확장 재현 우려로 인해 국회통과 과정이 험난할 것으로 점쳐지고 금산분리 완화는 미국발 금융위기가 부담스럽다.

녹색성장이 악재를 딛고 순항한다면 충청권 발전에는 더 없는 호재다. 신재생에너지의 메카를 선언한 대전도, 굴지의 에너지 기업들이 선호하는 충남도, 저탄소 녹색성장축의 중심인 충북도 국가정책에 일익을 담당할 태세다. 다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보강이 시급하다. 2000여 개에 달하는 국내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업 중 자금력과 전문성을 갖춘 충청권 소재 기업은 찾아보기 힘들다. 지자체들도 유연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야 한다.

저탄소 녹색성장 산업이 경제규모 세계 12위권 15년차인 한국경제의 부진을 털어주고 아울러 충청권 도약의 디딤돌이 돼 주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