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기준강화로 업체들 시설자금 부담
금융지원 종합컨설팅 등 지원체계 시급

최근 정부가 추진 중인 GMP(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강화가 오송생명과학단지 내 입주 기업들의 신공장 건설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이에 따라 오송단지의 조기 활성화를 위해서라도 종합 컨설팅, 자금지원 등 입주업체들이 새 GMP 시설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는 관련 인프라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5일 한국산업단지공단 충청지사 및 지역 제약업계 등에 따르면 정부는 오는 2010년까지 단계적으로 미국, 유럽 등 선진국 수준으로 국내 GMP 요건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미 법 개정을 통해 GMP 차등평가제를 시행하는 등 국내 GMP 수준을 미국 FDA의 cGMP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제도의 도입을 진행 중에 있다.

한미 FTA 등으로 국산 의약품 품질관리 향상 및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국내 GMP 요건의 강화가 필수적이라는 판단에 따라 정부가 제도 개선에 나선 것이다.

하지만 이 같은 정부의 방침과 달리 아직까지 국내 제약업체들의 경우 cGMP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데다 투자비용도 만만치 않아 큰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특히 조만간 공장 건립을 앞두고 있는 오송단지 입주업체들의 경우는 공장설립 지연 등도 우려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cGMP시설을 갖추기 위해서는 업체당 최소 300억 원 이상의 자금 투자가 불가피해 자금력이 부족한 중소제약사들은 큰 부담을 느낄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게다가 국내 제약업체 중 cGMP 시설을 갖춘 곳이 LG생명과학, 유한양행, 중외제약 등 손으로 꼽을 수 있을 정도로 전체적인 업계의 이해와 경험이 부족한 점도 중소업체들의 투자에 부담을 느끼게 하고 있는 부분이다.산단공 충청지사 관계자는 "최근 오송단지 입주업체들이 GMP 강화에 대한 부담으로 공장 설립 지연 등을 묻는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며 "단지 조기 활성화를 위한 업체들의 조속한 공장건립이 GMP 강화로 인해 사실상 쉽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고 귀띔했다.

이처럼 정부의 GMP 강화로 인해 오송단지 입주업체들의 공장설립 지연 등도 우려됨에 따라 일각에서는 관련 인프라 지원 등 대책 마련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지역의 한 제약업체 관계자는 "국내 GMP 수준의 강화는 업체들의 생존을 위해서는 필수사항이지만 투자 부담이 큰 만큼 금융 및 법률제도 등의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현호 기자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