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은 물론 유럽, 일본 등 전 세계 주요 국가들 사이에서 첨단반도체산업에 대한 경쟁이 치열하다. 첨단반도체 기술과 첨단반도체산업은 향후 기술 패권의 핵심 중 핵심이기 때문이다. 막대한 규모의 내수시장을 바탕으로 첨단반도체산업 분야에서 혁신적인 발전을 추진한 중국은 세계시장에서도 호응을 얻으며 괄목할만한 성과를 이뤄냈다. 이같은 중국의 기술 성장은 미국 중심의 반도체 업체들에게 큰 위기기감을 느끼게 했고 첨단반도체산업 주도권 다툼을 가속화 시키고 있다.

삼성과 하이닉스 등 우리나라 기업들도 반도체 분야에서는 앞선 기술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최근 몇 년새 벌어지고 있는 반도체 기술 경쟁은 수십년간 이어져온 기존 경쟁과는 그 양상이 다르다. 그 이유는 첨단반도체 기술이 인공지능 기술 발전과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 얼마전 쳇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이 등장하면서 전세계에 충격을 준 바 있다. 영화에서나 보던 생각하는 로봇도 곧 가능해 질 수 있다는 기대다. 첨단반도체 기술은 이러한 인공지능기술의 실제적 구현을 가능하게 할 핵심 기술이다.

이같은 세계적 흐름 속에서 우리 정부도 국가첨단산업 육성 전략에 따라 반도체 첨단공정과 기술개발의 허브 역할을 담당할 첨단반도체기술센터 구축을 선언했다. 반가운 일이고 당연히 해야할 일이다. 문제는 당초 정부가 첨단반도체기술센터를 비수도권에 구축하겠다는 입장이었는데 최근 이 내용이 빠졌다는 점이다. 국가기술경쟁력 확보는 물론 지역균형발전과 비수도권 육성 측면을 고려하겠다는 것이었는데 이같은 내용이 빠지게 된 것은 매우 아쉬운 일이다.

대전시가 첨단반도체기술센터 유치에 뛰어든 상황에서 정부의 미묘한 기류 변화가 우려를 키우고 있다. 대전은 대덕특구 등 연구 인프라를 갖추고 있고 국토의 중심부에 위치해 효율성과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 최적의 입지를 평가를 받고 있다. 기존 연구자원과 연계가 용이하고 교육, 의료, 문화, 교통 등 정주여건을 고려해도 대전이 최적지임이 틀림없다. 정부는 이같은 강점을 지닌 대전 등 지역이 첨단반도체기술센터 유치에 나설 수 있도록 비수도권 추진 입장을 명확히 해야한다.

반도체 =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반도체 =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