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F 1차 회의 이후 한달여 지났지만 새 활용방안 마련 못해
내달 초 2차 회의… NST, 정주여건 기능 계획만 담을 예정
간소화 활용 방안 도출 되더라도 행정절차 1년 이상 걸려

2012년 거주자 퇴거이후 수년간 방치된 대덕공동관리아파트. 모습. 사진 이정훈 기자
2012년 거주자 퇴거이후 수년간 방치된 대덕공동관리아파트. 모습. 사진 이정훈 기자

[충청투데이 이정훈 기자] <속보>=‘대덕공동관리아파트’ 부지 활용 방안 마련이 장기화 될 우려를 낳고 있다. <1월 19일 자 2면 보도>

수년간의 숙고 끝에 최근 마련 됐던 활용 방안은 예비타당성 조사에 들어서지도 못한 채 휴지조각이 됐고, 결국 원점부터 재검토하는 수순을 밟고 있지만 여전히 이렇다할 해법은 나오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공동관리아파트 부지 활용 방안을 찾기 위해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대전시, 출연연 등이 구성한 TF는 내달 초 2차 회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달 열린 첫 회의에선 그동안의 추진 과정을 비롯해 행정절차 등 직면한 문제를 공유한 바 있다.

TF는 오는 6월까지 새 해법을 찾기로 목표를 잡았지만, 1차 회의 이후 한 달여가 지난 현재 이렇다 할 새 활용 방안은 마련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목표 달성을 위해선 이번 2차 회의가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지만, 구체적 논의가 이뤄질지는 의문이다. 과학기술계 안팎으로 비판적인 시선이 늘자 NST 측은 이번 회의에서 큰 틀의 사안만 놓고 빠른 결정을 내릴 것을 예고했다.

일단 기존에 마련된 여러 기능을 모두 제외하고, ‘정주 여건’ 기능만 담겠다는 계획을 마련한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자 융합공간, 전시 등 편의시설, 기술사업화 공간, 과학자 게스트하우스 조성 등 기존 활용계획을 뒤로하고, 사실상 기숙사 형태인 정주 시설을 건립하겠다는 구상이다.

이에 따라 이번 회의에선 해당 부지에 정주여건 기능만 100% 담느냐, 아니면 정주 여건과 공적 기능을 어느 정도 비율로 조성하느냐를 두고 구체적인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이 같이 간소화된 기능만 담은 활용 방안이 도출된다 하더라도, 사업 추진을 위해선 최소 1년 이상 행정 절차가 요구되면서 실질적인 새 공간 조성은 지속 지체될 전망이다.

해당 부지의 경우 재정비촉진구역으로 묵여 있고, 국토계획법이나 연구개발특구법 등 3가지 규제가 적용되는 만큼 규제 해제를 위한 논의와 절차, 비용 발생까지 추가적으로 풀어야할 과제도 뒤따르고 있다.

일각에선 대전시가 해당 부지를 매입해 새 활용 법을 마련하자는 주장도 있지만, 시가 단독으로 부지를 지정 구매하기 위한 법적 검토 등 이마저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하연식 NST 대덕특구 융복합·혁신 큐브 기획단장은 "그동안 다양한 의견을 들어 왔던 만큼 이제는 빠른 결정이 필요하다"면서 "여러 규제나 풀어야할 과제도 많지만 이번 2차회의에서 어느정도 윤곽을 잡은 새 활용법을 마련 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정훈 기자 classystyle@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