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자체 우주산업 육성계획… ‘첨단우주센터’ 설립안 이목
3축체제 내 들어야 가능… 과기정통부에 사업계획 제출해
클러스터 지정 받아도 예타 다 못 받아 市 행정력 요구돼

순수 국내 기술로 설계·제작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II)가 21일 오후 전남 고흥군 봉래면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순수 국내 기술로 설계·제작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II)가 21일 오후 전남 고흥군 봉래면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이정훈 기자] 대전시가 우주 산업 인프라 확충을 위해 ‘첨단우주센터 설립’이라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대전이 국내 우주 산업의 한 축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첨단우주센터 설립을 통해 관련 연구개발 및 인재 양성 기능을 특화해 나가겠다는 게 핵심이다.

시는 최근 지역 맞춤형 우주산업 육성 해법을 찾기 위해 지난 6월부터 추진해온 ‘우주산업 육성계획 수립’ 용역 최종 보고회를 진행했다.

추진전략으로 △우주산업 클러스터 첨단 우주센터 등 우주산업 인프라 확충 △민간주도 미래우주기술확보 △산·학· 연 연계 우주전문인력 양성 △우주기업 역량 강화 지원 등이 제시됐다.

이 중 가장 이목이 집중된 과업은 ‘첨단 우주센터’ 설립이다. 규모나 위치 등 아직 구체적인 윤곽은 나오지 않았지만, 시는 큰 틀을 정하고 세부 계획 안을 수립해 나가고 있는 중이다. 첨단 우주센터는 연구개발·인재양성을 목표로 설립되는 기구다. 센터에는 우주산업의 연구 지원을 위한 전담 조직과 관련 연구를 위한 범용장비 구축 등의 기능이 담긴다.

특히 지역 대학과 연계해 꼭 우주관련 학과가 아니더라도, 밀접한 분야(기계 등) 학생들에게 교육을 진행하도록 하고, 산업체 기존 종사들를 대상으로 한 역량 교육까지 담당할 수 있도록 교육 시설이 마련된다.

다만 첨단 우주센터 설립을 위해선 선결 조건으로 ‘우주산업클러스터 지정’이라는 큰 관문을 넘어서야 한다.

시 자체적으로 추진하고자 하는 계획이 기틀을 잡아가고 있는 상황이지만, 정부로부터 우주산업 클러스터 지정을 받아내야만 실현 가능한 일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우주산업 클러스터에 대전은 뒤늦게 합류했다.

지난 7월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통해 경남과 전남이 먼저 후보지로 선정된 바 있다. 이후 지난 10월 정부가 연구·인재 개발 특화지구를 추가로 구축키로 하면서 대전도 첫 발을 뗀 상황.

클러스터 간 균형을 이뤄 동시에 시너지를 내기 위해선 3축 체제로 클러스터가 동시에 지정돼야 한다.

하지만 전남과 경남이 일찍이 후보지로 선정돼 과기정통부와 사업계획에 대해 충분히 검토할 시간이 있던 것과 달리, 대전은 상대적으로 준비 시간이 부족해 지정여부 결정이 미뤄질 우려가 있었다.

시 입장에선 내달 중순 개최 예정인 국가우주위원회의 최종 지정 절차를 넘어야 하는 셈이다. 현재 대전과 전남·경남을 동시 지정하는 방향으로 안건이 상정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지만 안심할 상황은 아니다.

동시에 클러스터 지정을 받는다 해도 3개 지자체에서 낸 사업 계획 모두가 예비타당성(예타) 조사에 들 수도 없기 때문에 대전시의 행정력이 요구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1차 관문인 실무진흥위원회 발표 이후 연구·인재개발 특화분야에 대한 사업 계획을 과기정통부에 제출했고, 현재까지도 내용 보완 및 협의를 지속 이어나가고 있다"면서 "내달 국가우주위원회 심의를 통한 클러스터 지정은 물론 현재 구상하고 있는 첨단 우주센터 설립까지 모든 계획이 담길 수 있도록 노력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훈 기자 classystyle@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