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별체감경제고통지수
청년층 25.1로 가장 높아
청년층 가구주 부채 증가율
전체 연령층보다 훨씬 높아
맞춤형 지원 등 도움 힘써야

 시내 한 마트에 진열된 밀가루. 사진=연합뉴스.
 시내 한 마트에 진열된 밀가루.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권혁조 기자] 국가·지역 경제의 뼈대로 성장해야 할 청년층이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최근 고물가, 고금리, 취업난 등의 여파로 인한 생활비 상승, 재무건전성 하락, 노동시장 불균형 등의 직격탄을 맞고 있는 탓이다.

15일 전국경제인연합회에서 발표한 ‘세대별 체감경제고통지수’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청년층(15~29세)의 체감경제 고통지수는 25.1로 집계됐다. 이어 60~69세(16.1), 30~39세(14.4), 50~59세(13.3), 40~49세(12.5) 순으로 조사됐다. 세대별 체감경제고통지수란 연령대별 체감 실업률과 물가 상승률을 합산해 느끼는 경제적 고통을 수치화한 것이다.

특히 청년층의 소비 지출 비중이 높은 교통(11.7%), 음식·숙박(7.3%), 식료품·음료(5.9%) 등이 전체 물가상승률(5.0%)를 상회하면서 청년층의 체감 경기를 악화시킨 것으로 분석됐다.

상대적으로 소득이 적은 대학생, 취업 준비생, 사회 초년생의 생활비 상승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또 최근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금리가 상승한 것도 청년층의 재무 건전성을 악화시킨 요인으로 지목됐다.

실제 지난 4년간(2017~2021년) 29세 이하 청년층 가구주의 부채 증가율(48.3%)은 전체 연령층의 부채 증가율 24.0%에 비해 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침체 여파에 좁아진 취업문도 청년층의 체감 경기를 악화시키고 있다. 청년층이 선호하는 관리자, 전문가, 공공기관 등 양질의 일자리가 대졸자 증가 속도에 못 미치는 노동시장 수급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것이다.

전경련 관계자는 "최근 4년간 고학력 일자리는 125만개 수준으로 전체 대졸자 규모의 57%에 그쳤다"며 "전공과 무관하게 취업하는 청년 비중이 절반에 달할 정도로 청년들의 취업 기회가 위축되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청년층이 취약계층으로 전락하지 않도록 맞춤형 지원, 일자리 정보제공 등에 힘써야 한다고 제언한다.

조복현 한밭대 경제학과 교수는 "청년층은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경제·사회적인 여건 탓에 대·내외적인 변수에 어려움이 크게 나타난다"며 "투기목적 채무자와 구별해 생계형 채무자에 대한 채무조정, 이자보전과 청년층이 선호하는 공공기관 일자리 지역 인재 채용 확대, 취업 정보 제공 등의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권혁조 기자 oldboy@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