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욱 천안과학산업진흥원 원장

우리 인류는 기후위기와 싸우고 있다. 기후위기관리와 경제성장을 동시에 추구하면서 사회적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그동안 중앙정부와 지자체들은 기후위기관리와 2050 탄소중립사회 실현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해 왔다.

하지만 온실가스 배출량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2017년 국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은 1031백만 톤으로 2005년 696.4백만 톤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현시점에서 경제성장을 지속하면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 Zero로 만드는 것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다. 충남도의 경우 석탄화력발전소를 없앤다면 발전소에서 일하는 임직원은 생계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또 화석연료를 사용하던 차량은 전기차나 수소차 등으로 교체해야 한다. 엔진 차량을 생산하는 기업은 문 닫아야 하고 근로자들은 일자리를 잃을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환경과 기후위기 문제 해결은 일자리와 경제의 희생을 수반하게 된다.

석탄연료 사용의 축소는 지역경제와 일자리에 나쁜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우리는 환경문제 해결과 경제성장을 통한 사회적 약자의 일자리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데 지혜를 모아야 한다. 그래야 지속 가능한 사회 실현이 가능하다. 지속가능 발전 차원에서 보면 DNA(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등 4차 산업 혁명기술을 이용할 경우 온실가스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전기자동차, 드론과 각종 친환경제품 개발 그리고 상품기획, 공정 및 물류 혁신 등은 자원과 에너지 절약 및 효율적 활용을 가능케 하며, 새로운 일자리 창출은 물론 탄소중립 사회 실현에 기여할 수 있다. 수소에너지, 탄소포집기술, 이산화탄소 활용기술과 메타버스 기술 등도 이산화탄소를 줄이는데 기여하게 된다. 장기적인 과제이긴 하지만 핵융합 발전기술의 상용화 실현은 지구의 에너지 및 환경문제 해결에 결정적 기여를 할 수 있다.

다만 기상이변과 환경파괴 등으로 생존마저 위협받는 인류가 당장 어떻게 적응하고 살아남느냐가 관건이다. 이 또한 과학기술을 활용해 지혜롭게 극복해 나갈 수 있다. 스마트 농업경영을 통해 식량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며, 인공위성, 정보통신기술 등을 활용한 기상정보의 신속한 공유는 재난재해 예방과 그 피해를 줄일 수 있다. 결국 지속 가능한 환경문제 해결은 과학기술투자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