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대전 경력단절여성 4만명
지난해 전년 대비 0.3%p 증가
30대 1만 8599명으로 가장 多
단절사유 절반 이상 ‘육아’ 꼽아
관련 시책 개발 필요성 높아져

충청권 경력단절여성인구 현황 =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충청권 경력단절여성인구 현황 =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충청투데이 서유빈 기자] 대학을 졸업한 30대 대전 여성들이 육아·결혼 등의 이유로 경력단절을 겪고 있어 정책 개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전세종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대전시 경력단절여성의 현황과 정책과제 발굴’ 연구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대전 경력단절여성인구는 총 4만여명이다.

지역 15~54세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여성은 2017년 21.7%에서 2020년 15.8%로 감소하다가 지난해(16.1%) 전년 대비 0.3%p 증가했다.

경력단절 여성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30대가 1만 8599명으로 가장 많았다. 40대(1만 4555명), 50~54세(3855명)가 뒤를 이었다. 교육정도별로는 대졸 이상(2만 5240명)이 가장 많았고 고졸(1만 3449명), 중졸(703명) 순으로 확인됐다.

대전 경력단절 여성들의 경력단절 사유로는 육아(52.0%)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결혼 준비(24.7%)와 임신·출산(16.1%)도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지역 여성들의 경력단절 요인 중 육아는 2017년 27.6%로 다소 낮았지만, 2019년(37.8%) 이후부터 경력단절 사유 중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기 시작했다.

대학을 졸업하고 취업 후 자리를 잡을 시기에 결혼과 출산, 육아 문제가 발생하자 직장을 그만두는 경우가 잦은 것으로 분석된다.

경력단절 여성은 대게 혼인·임신·출산·육아와 가족 구성원의 돌봄 등을 이유로 경제활동을 중단했거나 경제활동을 한 적이 없는 여성 중 취업을 희망하는 여성 등으로 정의된다.

여성가족부와 고용노동부는 2008년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촉진법’에 근거해 2010년부터 5년 주기 제1~3차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촉진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현재 3차(2020~2024년) 기본계획이 시행되고 있다.

경력단절여성들의 안정적인 사회 복귀를 도모해야 한다는 공감대 하에 정부 주도의 ‘마스터플랜’이 세워진 가운데 정작 대전시는 두 손을 놓고 있는 상황이다.

2012년 제정된 ‘대전시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 촉진 조례’에 3년마다 지역 내 경력단절여성 실태조사를 실시하도록 명시돼 있지만 조례 제정 이래 단 한 번도 실태조사를 진행하지 못한 실정.

또 대전 양성평등 기본조례, 일·생활 균형 지원 조례, 여성친화도시 조성 및 지원 조례 등 경력단절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를 이끌어내기 위한 근거가 있는데도 적극적인 시책 개발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경력단절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를 위한 담당 인력, 관내 경력단절여성 현황 파악, 정부 정책 대응 등이 부족하다는 한계점을 꼬집었다.

그러면서 정책 과제로 △대전 경력단절여성 정책 추진체계 정비 △실태조사 정례화 △정부 정책에 대응하는 중점 영역 세부과제 발굴 △경력단절여성 서비스 전달체계 내실화 △지역 기업 인식 개선 등을 제언했다.

류유선 책임연구위원은 "현재 여성 경력단절을 감소시키는 방안으로 일가족양립이나 가족 친화 같은 정책이 대부분인데 이는 여성의 경력형성이나 유지를 위한 방식보다는 경력과 가사노동, 육아를 함께하는 어려운 방안"이라며 "대전시 민선 8기 테마가 ‘일류 경제도시 대전’인 만큼 경력단절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는 주요하게 다뤄질 필요가 있으며 일례로 여성 중심 일자리 전담팀 운영과 일자리 중심 여성 전담팀 운영 등 여성 일자리 분야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서유빈 기자syb@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