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근대건축물 210개 이마저도 10년 수치… 철거되거나 방치된 곳 다수
시민 관심, 지자체 재원 조달 수반돼야… 최근 교육의 산실로 재탄생하기도

대전의 대표 근대건축물인 조선식산은행 건물. 현재는 안경점으로 이용중이다. 사진=윤지수 기자
대전의 대표 근대건축물인 조선식산은행 건물. 현재는 안경점으로 이용중이다. 사진=윤지수 기자

[도시기억 프로젝트] 사라지는 근대건축물 인터렉티브 뉴스 보기  https://bit.ly/394OUY4

[충청투데이 윤지수 기자] 대전의 근대건축물이 사라지고 훼손되고 있다.

도시가 발전하고 원도심을 중심으로 재개발 및 재건축이 시작되면서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근대건축물이 하나둘씩 철거 중이다.

추산된 대전지역 근대건축물은 210개에 달하고 그중 80% 이상이 원도심에 위치해 있다.

하지만 몇몇 건축물은 개인소유로 넘어가거나 이렇다 할 활용 없이 방치돼있는 게 현실이다.

근대건축물은 그 시대의 아픔을 가진 동시에 우리에게 역사적 교훈을 남겨주고 있어 보존을 넘어 보전과 활용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과거 속 건물에서 현재를 살아가는 근대건축물의 현재와 미래를 살펴보고자 한다.<편집자주>

대전 충청남도청 구 본관. 한국전쟁 때는 임시정부 청사 건물로 쓰였으며 현재 근현대사전시관으로 이용중이다. 사진=대전찰칵제공
대전 충청남도청 구 본관. 한국전쟁 때는 임시정부 청사 건물로 쓰였으며 현재 근현대사전시관으로 이용중이다. 사진=대전찰칵제공

대전의 근대화는 대전역이 개통되면서 시작됐다.

철도를 중심으로 교통의 발달은 물론 1km 떨어진 곳에 충남도청 이전으로 행정 기능이 더해지며 이 일대는 인구 증가와 산업발달이 급속도로 이뤄졌다. 

근대건축물은 아픈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현재 안경점으로 이용중인 이곳은 원래 일제강점기 일본인 자본으로 운영된 조선식산은행 건물이다.

당시 조선인의 자본을 빼앗아 일본정부에 자금으로 공급했다.

동양척식회사 대전지점과 함께 대표적인 경제 수탈 기구였다.

근현대의 상징인 대전 충청남도청 구 본관은 당시 권위적인 청사 건물 양식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충남도청사 심볼이라 할 수 있는 벽체 장식 문양은 조선총독부의 문양과 비슷해 한때 논란을 겪기도 했다. 

그래픽. 김연아 기자
그래픽. 김연아 기자

현재 전시관, 사무실 등으로 이용 중인 근대건축물은 이미 우리 기억속에 잊혀진지 오래다.

대전시에서 파악한 근대건축물은 210개로, 이마저도 2010년 '근대문화유산 조사보고서'가 전부다.

현재는 정확한 현황 파악도 안 된 상황이다.

그 결과 일부 근대건축물은 개발 논리와 무관심, 탁상행정 속에서 자취를 감췄다.

대표적으로 대전 문학의 산실로 평가받는 故 정훈 시인 고택은 2016년 철거됐으며 앞서 일제시대 건축물인 대사동별당은 임시정부의 국무회의가 열린 곳이지만 2009년 철거되기도 했다.

현재 근대건축물의 보존에 대한 필요성은 점차 커지고 있다. 

지자체는 근대건축물의 기록·보존 필요성에 공감하지만 민간소유라는 벽이 가로막고 있다. 

지역에선 옛 산업은행 대전지점, 옛 조흥은행 대전지점, 옛 대전부청사 등이 민간소유로 넘어갔다.

문제는 대다수 근대건축물이 개인이나 기업 소유가 많아 문화유산 보호와 개발을 놓고 지자체와 소유자 사이 간극이 발생한다는 점.

정작 소유자와 복원·보존에 관한 의견이 일치해도 매입 가격을 두고 합의에 도달하기까지도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이외에도 각 장소마다 1km 이상 떨어져 있거나 30분 이상 걸어야 한다는 지리적 한계가 작용하고 있다.

인접한 근대건축물이 있어도 이를 연계하는 코스나 문화해설사가 부족해 각각의 공간 특성이 살리지 못한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성숙한 시민의식이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

또 체겨적 관리를 위한 예산 확대가 뒷받침 돼야 한다.

1958년 농산물 품질 관리를 위해 건립된 관공서 건물로 현재는대전시립미술관 창작센터로 이용중이다. 사진=윤지수 기자
1958년 농산물 품질 관리를 위해 건립된 관공서 건물로 현재는대전시립미술관 창작센터로 이용중이다. 사진=윤지수 기자

일부 기록화 등에 나서고 있지만 예산이 줄면서 장기적으로 공적 기금 모금 등 다양한 방법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미 타 지역은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강경, 군산 등 근대도시 지역은 근대거리를 조성하거나 관광자원과 연계한 관광코스를 개발하고 있다.

지역 문화유산관게자는 “각각의 장소가 도시의 정체성을 나타내고 있어 과거 도시의 모습은 물론 현재 도시의 랜드마크로 발전할 수 있다”며 “근대건축물이라는 하드웨어가 존재하고 있어 이제는 이를 응집시킬 예산, 인력, 접근성 같은 소프트웨어가 갖춰져야 한다”고 말했다. 

윤지수 기자 yjs7@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