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수장 유입 문제 해결 먼저" 목소리도

충남 서천과 전북 군산 일대 설치된 금강하굿둑 사진=연합뉴스
충남 서천과 전북 군산 일대 설치된 금강하굿둑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김지현 기자] 지난해 금강하구 수질이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기준 ‘약간 나쁨’을 기록했다.

금강하구 수질 복원을 위해 금강하굿둑 배수갑문을을 개방해 해수를 유통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9일 충남연구원 금강하구 수질변화 자료에 따르면 작년 금강하구 중 가장 하류인 1구간 COD는 7.5㎎/ℓ로 ‘약간 나쁨’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부의 ‘환경정책기본법’을 통해 2015년까지만 COD를 수질 척도로 사용하는 것으로 정했으나 전문가들은 변화 연속성을 보기 위해서는 COD를 봐야 한다고 말한다. 2016년부터 적용된 수질 척도인 총 유기탄소(TOC)는 2009년부터 측정기록이 있어 장기적인 변화 연속성을 보기 어렵다.

충남도도 COD를 기준으로 금강하구 수질 변화를 파악하고 있다.

금강하구의 수질 악화 원인으로는 금강하굿둑이 거론된다. 1990년 금강하굿둑 완공 이후 금강하구 COD는 1992년 5.2㎎/ℓ에서 현재까지 계속해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도는 금강하굿둑으로 인한 하천 흐름 단절이 수질악화의 원인이라고 보고, 배수갑문을 개방해 해수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금강하구에서 상류로 10km 지역을 해수와 담수가 섞인 기수역으로 조성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전북도 등 이를 반대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금강하구 3.5km 이내에 충남도 내 1개, 전북도 내 3개의 양수장이 설치돼있어 10km 기수역이 조성될 경우 농·공업에 지장이 생기기 때문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금강하구 수질을 개선하는 데에는 반대하지 않지만 10km 반경에 도내 3곳의 양수장이 있다"며 "양수장에 해수가 유입될 경우 농업과 공업 등에 지장이 생길 수 있어 대안을 마련한 후 해수유통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충남도는 단기적으로 양수장 설치 구간 전인 3km까지만 기수역을 조성해 해수유통을 실증 실험하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밝혔다.

도 관계자는 "단기적으로 3km 해수유통 실증 실험을 해본 후 충남과 전북에 있는 양수장을 10km 반경 밖으로 이소해 해수유통 범위를 10km까지 확대해 나가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며 "금강하구 수질 개선은 충남도만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모두에게 지장이 없도록 최선의 계획을 세워 추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지현 기자wlgusk1223k@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