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전망전문가포럼… 25년 뒤 생존율 75% 넘는 곳 서울·세종 뿐
지방 학생 수 감소 낮은 교육질로 이어져 악순환… 정부적 대응 필요

2042~2046 지역별 대학 생존율 =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2042~2046 지역별 대학 생존율 =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충청투데이 윤지수 기자] 25년 뒤 국내 대학 절반 이상이 사라질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이 나오면서 충청권 소재 대학이 안심할 수 없는 처지에 놓였다.

서울 등 수도권 인구 쏠림 현상이 심화되면 지방 대학 학생 수, 교육의 질 측면에서도 대학간 격차가 발생한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6일 동아대 이동규(기업재난관리학과) 교수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의 ‘미래전망전문가포럼’를 통해 발표한 ‘인구변동과 미래 전망 : 지방대학 분야’ 보고서에 따르면 2042~2046년 국내 대학 수는 190개로 집계됐다.

올해 국내 대학 수가 385곳인 점을 감안하면 25년 뒤에는 절반만 살아남는다는 의미다.

특히 25년 뒤 17시 시·도 중 대학 생존율이 75%를 넘긴 곳은 서울(81.5%)과 세종(75.0%)뿐이다.

이외 충청권에서는 대전이 41% 충남과 충북은 각각 57%와 55%로 나타났다. 이 같은 원인은 지역별 출생아 수와 학령인구 증감 등에 따른 것으로, 전체 학령인구가 2032년부터 수도권에 밀집되는 점에 기인한다.

이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여 2042~2046년에는 전체 학령인구의 약 52%가 수도권에서 거주한다고 전망했다.

문제는 수도권 학생 쏠림 등 격차가 발생하면서 지방대학의 악순환 구조가 펼쳐진다는 것이다.

학생 수 감소는 대학의 등록금 감소와 비정규직 교원 증가로 직결돼 낮은 교육의 질과 지방대의 부정적인 인식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이다. 앞서 고등학교 졸업 후 대학에 진학 의사를 밝힌 ‘입학가능인원 ’도 감소해 충청권 대학의 위기는 이미 현실화됐다.

대학교육연구소의 대학 위기 극복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방안’을 살펴보면 지난해 충청권의 입학가능 인원은 8만 1337명에서 올해 7만 3750명으로 나타났다.

이후 7만여명을 유지하다 2035년에는 6만 8269명으로 사상 처음으로 6만명대 선이 무너진다.

이는 충청권이 그동안 수도권과 교통이 인접해 신입생 충원에 용이했지만 앞으로 이들 지역이 충원에 어려움이 커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에 교육계는 현 상황에 위기의식을 가지고 대비해야 한다는 시각이다.

교육계 관계자는 "대학 문제는 교육부만의 문제가 아닌 지자체 등 범정부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지자체에서는 각 특성에 맞는 산업을 유치하고 일자리, 거주와 연계해야 한다"며 "대학이 단순히 학생들의 학습 외에도 다양한 연령층을 확보해 평생학습개념의 교육시설로 거듭나야 한다"고 조언했다.

윤지수 기자 yjs7@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