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반아트리움·방축천 특화상가 공실多… 백화점 부지 활용대책도 지지부진
대전신세계 오픈 앞둬, 원정소비 가속화 전망 “정주여건·자족기능 확보를”

[충청투데이 강대묵 기자] 세종시민의 타지역 ‘원정 쇼핑’은 언제까지 지속될까.

세종에 거주하는 다수 시민들은 “솔직히 세종시는 아이들 옷 한 벌 구매할 수 있는 마땅한 쇼핑공간이 없는 게 사실”이라고 입을 모은다.

외형상으로만 빛나는 어반아트리움과 방축천 특화상가도 텅 빈 유령건물 수순을 밟고 있다. 다수의 시민들은 복잡한 내부동선 탓에 재방문을 꺼리는 게 사실. 일부 점포들이 띄엄띄엄 자리잡고 있지만, 젊은층의 소비 트랜드를 충족시키기엔 역부족이다. 해당 건물에서 창업의 꿈을 꾼 다수 자영업자들은 하나, 둘 문을 닫고 있다.

현재 어반아트리움은 공실이 극심하고, 방축천 특화상가는 본래의 취지에서 벗어나 공공기관 입주로 연명하는 중이다.

세종시민들이 주말이면 대전과 청주로 ‘원정쇼핑’에 나서는 건 어쩔수 없는 선택이다.

세종시민들은 오는 27일 오픈 예정인 '대전신세계 아트 앤 사이언스'를 부러움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명품매장부터 체험형 콘텐츠 시설, 아쿠아리움, 프리미엄 멀티플렉스 영화관, 고층 전망대 등을 갖춘 복합쇼핑시설이 눈부시기 때문.

세종 신도심에서 30분 이내 거리인 대전신세계를 향한 세종시민의 원정소비는 가속화 될 것으로 보인다.

세종시의 한 주민은 “인근 도시인 대전, 청주, 부여만 봐도 백화점이나 아울렛 매장이 즐비한데, 세종시는 왜 마땅한 쇼핑공간이 없는지 도무지 이해가 가질 않는다”면서 “건설 초기면 이해가 가지만 내년이면 세종시 출범 10주년을 앞둔 상황에서, 이 같은 현상은 관계기관의 무능이 빚어낸 결과”라고 주장했다.

결국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과 세종시의 무능론이 부각되고 있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해 6월 세종시 백화점 부지를 대상으로 한 '행복도시 2-4생활권 리뷰 및 기능조정 전략 수립 용역'을 발표했다. 당시 용역 연구진은 “전반적인 행정중심복합도시의 기능 점검 결과 복합쇼핑몰, MICE, 호텔, 업무시설의 기능 도입은 적절하나 일부 도입 규모에 대한 조정을 통해 사업성과 민간사업자의 참여를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복합쇼핑몰 사업규모 축소를 통해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행복청은 1년 넘게 후속대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쓰러져가는 세종상권을 ‘강 건너 불구경’하는 모양새다. 표류 된 백화점 부지는 잡초만 무성한 꽃밭으로 자리잡았다.

세종시도 이렇다 할 대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지역화폐 여민전 판매로 역외소비가 줄었다는 수치만 내세우면서, 침체된 시장의 상황을 꿰뚫지 못하고 있는 분위기. 읍면지역을 활용한 대규모 유통시설 건립도 대안이 될 수 있지만, 세종시의 행보는 소극적이다.

행정수도 완성 이전 정주여건을 갖춘 자족기능 확보가 우선시 돼야 한다는 게 세종 지역민의 목소리다. 자영업자의 무덤, 베드타운 등의 오명을 하루 빨리 벗어내야 한다는 것.

유통업계는 세종시 상권에 부정적 시각이다. 지역 상권을 살리기 위한 특단의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인구 150만명 도시인 대전에 갤러리아 타임월드와 롯데가 있고, 여기에 신세계가 문을 열 예정인데, 인근 50만 도시에 새로운 백화점 개발에 나서는 업체는 없을 것”이라며 “또한 인근 80만 인구인 청주에서도 현대백화점의 매출이 좋지 못하고, 더 나아가 천안·아산 시장도 인구가 100만 명이 되지만 유통업계 입장에선 매출이 높지 않은 지역으로 꼽힌다”고 전했다. 이어 “소비력이 약한 공무원 도시의 이미지가 큰 세종시에 인구가 50만명을 넘어 80만, 100만명이 된다고 해도 해당 지역에 투자를 할 업체는 사실상 없을 것”이라며 “현재 행복청과 세종시의 도시정책은 자영업자의 무덤을 부르는 길”이라고 덧붙였다.

세종=강대묵 기자 mugi10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