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청권 광역철도’ 사업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안 반영.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충청권 광역철도’ 사업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안 반영.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대전과 세종, 충남·북을 하나의 경제권으로 묶는 충청권 광역경제생활권(메가시티)의 청사진이 나왔다. 광역교통망 구축과 초광역 미래 모빌리티 산업 생태계 구축 방안이 제시됐다. 광역인프라 분야로 충청권 경제자유구역 통합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혁신성과 확산 등이 꼽혔다. 대전세종연구원의 '충청권 광역생활경제권 전략 수립연구용역' 중간보고회에서다. 연구원은 오는 11월까지 세부과제를 구체화하기로 해 어떤 결과물이 나올지 주목된다.

충청권 자치단체장들이 지난해 11월 메가시티 추진에 합의하면서 공동연구에 속도가 붙고 있다. 충청권 메가시티는 수도권 중심의 일극체제에서 벗어나지 않으면 공멸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에서 출발했다. 수도권에 전체 인구의 50%가 몰려있는 있는 반면 지방은 인구절벽으로 소멸위기에 처했다. 최근 이건희 미술관과 k바이오랩 허브 후보지가 수도권으로 결정 된 것만 봐도 지역균형발전이 얼마나 공허한 얘기인지 가름 할 수 있다.

광역지자체들마다 메가시티 추진에 열을 올리고 있는 이유다. 부산 대구 울산 경북 경남 등 영남권 5개 시·도가 그랜드 메가시티 구축을 위해 본격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각각의 특별지자체를 출범한 뒤 향후 영남 전체를 통합한다는 계획이 나올 정도다. 영남권 5개 시·도의 인구는 1300만명으로 경기도 인구와 맞먹는다. 성사 시 엄청난 폭발력이 예상된다. 광주·전남을 통합하는 광주·전남 메가시티도 논의 중이다. 뒤처지지 않으려면 추진에 속도를 내야 한다.

충청권 메가시티 실현을 위해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세부과제를 다듬어 구체화하는 작업에 돌입했다. 제시된 과제가 한둘이 아니다. 실행력 높은 공동사무를 발굴하는 것이 그래서 중요하다. 지자체마다 이해관계를 달리하는 부분은 충돌할 우려도 있다. 지자체 이기주의를 경계하고자 한다. 시도별 역할 분담을 통해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충청권 메가시티라는 큰 그림 앞에 지엽적인 사안이 걸림돌이 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