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미 대전시사회서비스원 대표이사

어릴 적 고향 부여에서 한집에 3대가 모여 살던 때, 아프신 할머니를 모시던 부모님을 생각하면 지금도 가슴 한편이 먹먹해진다. 오직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를 돌봐야만 했던 옛 시절의 아픔이 떠오르기 때문이다. 핵가족과 1인 가구 세대가 증가하면서 이제 돌봄은 한 가정의 과제가 아닌 우리 사회가 함께 공유하고 헤쳐나가야 하는 ‘돌봄의 사회화’로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오는 2026년 전체 인구의 20% 이상이 65세 이상인 초고령사회 진입을 눈앞에 두고 돌봄 수요 급증에 따른 대책을 마련해야 했다. 이에 돌봄이 필요한 사람을 누가, 어디서 돌볼 것인가에 대한 해법으로 정부는 2019년 6월부터 지역사회통합돌봄 선도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2017년 보건복지부 노인실태조사 결과 어르신의 57.6%가 거동이 불편하더라도 살던 곳에서 여생을 마치고 싶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돌볼 사람이 없어 병원이나 시설에 맡겨지는 경우가 많다. 지역사회통합돌봄은 어르신, 장애인 등에 대한 돌봄을 기존 병원이나 시설이 아닌 사는 곳에서 지역자원을 활용해 맞춤형 주거, 의료, 요양, 돌봄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정책 사업이다.

우리 시의 경우 민선 7기 허태정 시장의 약속사업으로 2019년 대전형 돌봄서비스 모델개발 연구를 바탕으로 지난해 유성구와 대덕구에서 시범사업을 추진했다. 올해는 동구와 서구로 확대 진행 중이다. 지역사회 특성을 살린 다양한 모델로 동구는 퇴원환자를 위한 지역사회 연계 구축 지원 사업, 서구는 복지수요가 많은(둔산3동, 월평2동, 관저2동) 곳을 시범동으로 선정해 주거(노인친화주택 사업), 영양 밑반찬 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유성구는 정보통신기술(ICT)를 활용한 인공지능(AI) 돌봄서비스, 굿바이 싱글사업, 대덕구는 비대면 안부 확인 서비스(사랑의 콜센터) 등의 프로그램을 제공 중이다. 대전시사회서비스원에서도 시범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교육과 컨설팅 및 모니터링 등을 지원하고 있다.

지역사회 통합돌봄사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돌봄이 필요한 상태가 되도 내 집에서, 우리 동네에서 살아가는 것이 당연하다는 시민들의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 또 돌봄이 필요한 수요자 욕구에 맞춰 보건 의료-복지-요양-주거서비스가 적절히 제공될 수 있도록 관련 서비스 인프라 확충 및 전문성 강화가 이뤄져야 한다. 이러한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는 지자체-공공기관-관련 서비스 제공 기관 간 협업 체계 활성화, 수요자 맞춤형 통합적 정보시스템 구축 등의 시도가 함께 이뤄져야 한다. 통합돌봄은 ‘병원과 시설에서 재가와 지역사회로, 공급자에서 이용자 중심으로’ 돌봄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정책이다. 이러한 대전시의 시범사업들이 성공적으로 안착되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