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인구 5년 전보다 5만2426명↓
세종 인구 5년새 10만여명 새둥지
충남 다시 감소세·충북은 낙관못해
‘성장동력’인 15~64세 생산가능인구
충청 403만여명… 전체 인구 72.8%
2047년엔 306만여명… 전체 52.1%
경제적 부담 가중돼 경기침체 야기
점점 커지는 ‘청년 정책’ 주문 목소리
청년 빛본 대전 동구 소제동 좋은 예

충청권 생산가능인구 비율 =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충청권 생산가능인구 비율 =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충청투데이 송해창 기자] 저출산·고령화 현상은 충청권의 해묵은 숙제다. 출생아 수 감소, 노년인구 증가는 나날이 심화되고 있다. 이는 곧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직결된다. 생산가능인구 감소는 경기침체, 성장동력 상실을 넘어 지방소멸을 야기한다.

충청권은 ‘생존’을 위한 절체절명의 위기에 맞닥뜨렸다. 현실 타개책은 오로지 정책이다. 그 중에서도 ‘청년 정책’은 최우선 요소로 꼽힌다.

◆인구감소는 아닌데… 낙관도 불가

통계청에 따르면 최근 5개년(5월 기준) 충청권 인구는 △2017년 546만 7276명 △2018년 551만 278명 △2019년 553만 5761명 △2020년 553만 2508명 △2021년 553만 3412명 등으로 조사됐다.

증가·감소가 반복됐지만 감소세·증가세를 단언할 수 없다.

단 동 기준 시·도별 추이는 우려를 낳는다.

세종을 제외한 3개 시·도는 낙관할 수 없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대전 인구는 △2017년 150만 9587명 △2018년 149만 5234명 △2019년 148만 4398명 △2020년 147만 1915명 △2021년 145만 7161명으로 집계됐다.

완연한 감소세로 지난달 대전 인구는 5년 전 대비 5만 2426명 줄었다.

세종 인구는 △2017년 25만 9157명 △2018년 29만 7604명 △2019년 32만 5777명 △2020년 34만 5373명 △2021년 36만 2036명 등으로 조사됐다.

꾸준한 증가세로 5년 새 10만 여 명이 새롭게 둥지를 틀었다.

충남 인구는 △2017년 210만 5959명 △2018년 212만 1618명 △2019년 212만 5732명 △2020년 211만 8510명 △2021년 211만 7276명으로 나타났다.

잠시 상승세를 띠었으나 감소세에 접어들었다는 우려가 나온다.

충북 인구는 △2017년 159만 2573명 △2018년 159만 5822명 △2019년 159만 9584명 △2020년 159만 6710명 △2021년 159만 6955명으로 파악됐다. 하락세는 아니나 상승세 또한 장담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그래픽 = 충청투데이 정연희 디자이너
2017~2021년 충청권 인구감소 그래픽 = 충청투데이 정연희 디자이너

◆감소하는 ‘생산가능인구’

충청권의 위기는 ‘생산가능인구’에 방점이 찍힌다. 생산가능인구는 15~64세를 칭한다. 경제활동 주체로 전 분야의 성장동력으로 여겨진다. 올해 충청권 생산가능인구는 403만여 명, 전체 인구 553만여 명의 약 72.8%다.

경제활동을 하는 7명이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3명을 부양하는 셈이다.

경제학 관점으로는 양호한 수치다. 향후 추이는 암담하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2017년 중위)는 2047년 충청권 인구를 587만여 명으로 예상했다.

생산가능인구는 306만여 명, 전체 인구 대비 52.1%에 불과하다. 경제활동을 하는 5명이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5명을 부양하는 것과 같다. 이 같은 1대 1 비율은 생산가능인구가 짊어질 사회적·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킨다.

특히 생산가능인구의 소비활동을 위축시켜 경기침체를 야기한다. 이에 따른 ‘저출산 현상 심화→노년인구 비율 증가→생산가능인구 감소→경기침체’ 악순환은 정해진 수순이라는 평이다. 생산가능인구 감소가 지방소멸로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권선필 목원대 공공인재학과 교수는 “생산가능인구 감소는 기업·가계 소득 하락 등 경기침체를 일으킨다. 경기가 침체된 지역은 거주지로서의 가치를 잃는다”며 “사람이 모이지 않으면 도시는 소멸될 수밖에 없다. 생산가능인구가 감소 중인 충청권은 소멸 위기에 놓인 것”이라고 말했다.

◆해답은 ‘청년 정책’

충청권의 위기는 ‘정책’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특히 생산가능인구를 겨냥한 ‘청년 정책’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높다. 지역 청년들도 청년 정책을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노예찬 청년단체 아인 대표는 “현 시대 청년들은 녹록지 않은 현실을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이들을 아우를 정책은 미흡한 상황”이라며 “청년을 대변할 정책이 너무나 절실하다. 양질의 청년 정책은 (청년) 삶의 질 향상, 청년 유입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청년 정책의 기대효과는 다양하다.

청년 유입에 따른 생산가능인구 증가는 즉각적인 효과로 꼽힌다.

본인 외에 향후 결혼·출산 등으로 인한 인구 증가도 연계효과로 거론된다. 젊은 감각을 통한 경제활성화는 전국 곳곳에서 입증되고 있다.

지역에서는 대전 동구 소제동이 청년과 만나 빛을 발했다. 다소 잊혀졌던 철도 관사촌에 젊은 감각이 더해져 전국 명소로 거듭났다. 청년 유입은 지역 이미지 제고에 도움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미 세종시는 ‘전국에서 가장 젊은 도시’를 강조하며 각종 홍보에 나서고 있다.

청년 유입에 따른 ‘젊은 도시’, ‘청년 도시’ 이미지는 기업·지자체 등과의 사업에 톡톡한 효과를 낸다는 평이다.

권선필 교수는 “충청권 생산가능인구 감소는 오래 전부터 예측됐다. 그럼에도 현실적인 전략을 마련하지 못했다”며 “지역 청년 문제도 해결하고 타 지역 청년을 유인할 수 있는 묘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시기를 놓치면 되돌릴 수 있다. 깊이 고민하되 빠른 시일 내 답을 찾아야 한다”며 “전 지역사회의 노력이 필요하다. 청년 정책은 현 세대와 다음 세대를 위한 의무”라고 강조했다.

송해창 기자 songhc@cctoday.co.kr

[표제목] 2021·2047년 충청권 생산가능인구 비율

(2017년 중위 기준, 단위:명) 출처: 통계청

  2021년 2047년
생산가능인구 비율 72.83% 52.14%
총 인구 553만 3412 587만 2190
생산가능인구 403만 306만 2000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