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세권지구·연축지구·내포신도시
올해 최대 과제 ‘혁신도시 내실화’
市, 정치상황 주시 촘촘한 전략 준비
道, 수도권 공공기관 유치 TF 구성
정치권 협력·대응 초당적 주문 목청

▲ 대전 혁신도시 조감도(대전역세권지구). 대전시 제공

[충청투데이 송해창 기자] 대전과 충남이 혁신도시로 재탄생한다. 대전·충남은 지난해 오랜 염원 ‘혁신도시 지정’을 이뤄냈다.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지난해 10월 8일 본회의를 열고 ‘대전·충남 혁신도시 지정’ 안건을 원안의결했다.

국토교통부가 같은 달 대전·충남을 혁신도시로 지정하고 관보에 고시함으로써 혁신도시 지정 절차는 최종 마무리됐다.

이로써 양 시·도는 2005년 혁신도시 지정에서 제외된 후 15년 넘게 염원했던 숙원사업을 해결했다.

혁신도시는 국토균형발전, 자립형 지방화 등을 목표로 한다.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 지방이전’은 이를 위한 촉매이자 핵심으로 여겨진다.

공공기관 유치를 통한 지역활성화는 대전·충남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지난해 기존 혁신도시 10곳은 전년 대비 괄목할 성과를 거뒀다. 충북, 강원, 전북, 광주·전남, 경북, 경남, 대구, 울산, 부산, 제주 등 10곳의 평균 정주인구는 1만 2000명 증가했다.

혁신도시 입주기업은 693개사에서 1425개사, 지역인재 채용률은 23.4%에서 25.9%로 늘었다.

지역물품 우선구매율은 8.8%에서 13.4%, 지방세수도 3814억원에서 4228억원으로 대폭 확대됐다.

▲ 대전 혁신도시 위치도(연축지구).  대전시 제공
▲ 대전 혁신도시 위치도(연축지구). 대전시 제공

대전 혁신도시 입지는 ‘대전역세권지구’와 ‘연축지구’다. 대전역세권지구는 중소기업·교통·지식산업 관련 클러스터, 연축지구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대덕연구개발특구 등과 연계한 혁신성장 거점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충남 혁신도시 입지는 ‘내포신도시’다.

내포신도시는 일자리창출, 세수증대, 지역경제 활성화 등 충남권 발전의 첨병으로 거듭날 것으로 보인다.

올해 최대 과제로는 혁신도시 내실화가 꼽힌다.

알짜 공공기관 유치는 내실화를 위한 선행조건이다.

대전은 대전역세권지구에 중소기업은행, 코레일관광개발,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등 중소기업·교통·지식산업 공공기관을 유치할 방침이다. 연축지구 유치 공공기관으로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한국나노기술원 등이 언급된다.

대전은 긴 호흡으로 과제를 해결할 방침이다. 수도권 공공기관 이전이 경제·정치 등 외부요인과 밀접하다는 판단 하에 체계적인 전략을 세우기로 했다.

특히 오는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 2022년 지방선거 등이 예정된 만큼 정치적인 상황을 주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대전시 관계자는 “긴 호흡으로 긴 시간을 인내하며 촘촘하고 차분한 전략을 펼치고자 한다”며 “대전이 혁신성장의 신 중심지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충남은 수도권 공공기관 유치 TF를 구성해 적극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다.

중점 유치 대상 공공기관도 △환경기술 △연구개발(R&D) △문화체육 등 3개 기능군을 선정했다.

환경기술 기능군은 서해안 대기환경 오염 개선, 해양환경 관리 거점 구축 등이 골자다.

연구개발 기능군은 충남혁신도시를 환황해권 주력산업의 R&D 허브로 조성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세부 계획으로는 산업 구조 혁신, 산업 생태계 개편, 신산업 융복합 등 ‘산업연구개발 공공기관 모델’ 구축을 내세웠다.

문화체육 기능군은 내포문화권의 환경·지리적 특성, 사회·문화적 특성 등을 반영했다.

▲ 충남 혁신도시 입지 내포신도시 전경. 충남도 제공
▲ 충남 혁신도시 입지 내포신도시 전경. 충남도 제공

충남도 관계자는 “3개 기능군은 충남의 다양한 특성을 충분히 고려해 선정한 것”이라며 “이를 토대로 공공기관 유치 전략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피력했다.

정치권의 초당적 협력·대응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높다.

현재 수도권 공공기관 지방이전은 그 움직임이 미미하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지난해 말 ‘문재인 정부 임기 내 공공기관 이전은 어려울 것’이라는 입장을 내비치기도 했다.

타개책으로 충청 정치권의 단합과 대응을 요구하는 여론이 거세다.

충청 정치권에는 다선 의원도 상당수다.

대전에는 6선 박병석(서구갑)·5선 이상민(유성구을)·3선 박범계(서구을) 의원이 활동하고 있다.

충남에는 5선 정진석(공주·부여·청양)·4선 이명수(아산갑)·홍문표(홍성·예산), 3선 김태흠(보령·서천)·박완주(천안을) 의원이 건재하다. 이들의 결집은 정부에 강한 압박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평이 지배적이다.

이명수 의원은 “대전·충남 혁신도시는 양 시·도와 국가의 100년을 책임질 대계”라며 “혁신도시를 향한 지역민의 기대를 잘 알고 있다. 향후 추진에 각고의 노력을 쏟겠다”고 말했다.

송해창 기자 songhc@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