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인프라 디지털대전환 최적지, 네트워크·협업 부족…추진력 저하
‘뉴딜사업 국비확보’ 지역전략 필요, 기업 발굴·콘텐츠 개발 힘 합쳐야

사진 =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14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한국판 뉴딜 국민보고대회'에서 종합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사진 =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14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한국판 뉴딜 국민보고대회'에서 종합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속보>=대전형 ‘그린스마트스쿨’을 위한 산·관·학 선제 대응으로 향후 뉴딜사업 국비 확보를 위한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7월 15일자 1·3면 보도>

대전은 대덕연구개발특구(이하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IT벤처기술이 집적돼 있고 교육 인프라 디지털 대전환을 위한 최적의 지역으로 꼽히지만 문제는 ‘네트워크’와 ‘협업’ 부족이다.

최근 문재인 정부가 발표한 한국판 뉴딜정책 그린스마트스쿨의 핵심 키워드는 ‘녹색 에너지 산업’과 ‘디지털화’ 등 크게 두 가지다.

대전지역에 집중된 연구개발 중심 벤처기업 수는 1458개사로 벤처집적률은 56.8%로 전국 1위 규모다.

ICT 교육콘텐츠 개발은 물론 태양광 및 친환경 단열재 기술 등 녹색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연구기관 및 벤처기업이 많아 그린스마트스쿨의 최대 효율을 끌어낼 수 있는 환경인 것이다. 문제는 지원기관들의 협업이 부족하고 추진동력이 떨어진다는 데 있다.

지역 벤처기업들은 수 년 전 부터 초·중·고 연계를 통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콘텐츠 협력으로 지역 내 창업 생태계 구축을 추진하고자 했지만, 시교육청의 소극 행정으로 결국 현실화 되지 못했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그간 대전시, 시교육청, 유관기관(경제통상진흥원, 테크노파크, 정보문화산업진흥원), 벤처협회 등 산·관·학 협력이 유기적으로 이뤄지지 못했던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그간 축적돼 온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교육 인프라의 디지털 대전환을 위한 기업 발굴 및 콘텐츠 개발에 각계각층이 힘을 모아야 하는 상황이다.

정부의 한국판 뉴딜정책의 본격적인 도입에 앞서 지역차원에서 사전 검증을 통해 실현 가능성 있는 명분을 만들고, 추후 국비 확보에 대한 타당성을 만들어 내야 할 때인 것이다.

박찬구 대덕이노폴리스벤처협회 회장은 “그린스마트스쿨 사업은 대전 벤처기업들이 오랫동안 고민해온 사업”이라며 “단순히 학교의 공간 혁신 차원으로 접근할 것이 아닌 기존 교육 패러다임과 지역 산업 생태계를 바꾸는 중요한 과제”라고 설명했다. 이어 “대전시, 대전시교육청, 민간기업 등 산, 관, 학이 선제적으로 나서 지역에서 먼저 시장 검증을 하고, 실증화를 거쳐 국비 확보 등 필요성 정립을 위한 근거를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