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로 보는 4월 7일 핫차트입니다.

 

1. 코로나19 중증 환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중증 환자 2명이 완치자의 혈장을 주입하는 치료를 받고 회복됐다는 국내 첫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세브란스병원 최준용·김신영 교수팀은 7일 코로나19 감염으로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을 동반한 중증 폐렴이 생긴 환자 2명에게 혈장치료를 한 결과, 회복에 큰 도움이 됐다고 밝혔다.

이 연구 논문은 이날 발간된 국제학술지 'JKMS'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71세 남성 A씨와 67세 여성 B씨 등 2명을 대상으로 혈장 치료를 진행했다.

먼저 열과 기침 증상을 보이다가 확진 판정을 받은 A씨는 말라리아 치료제와 에이즈 치료제로 항바이러스 치료를 받았지만 상태가 좋아지지 않아 세브란스병원으로 이송됐다.

도착 당시 호흡 속도는 분당 30회 이상(정상 성인 20회 이하)으로 흉부 엑스레이 검사에서도 양쪽 폐 모두 심각한 폐렴 증상을 보였다.

이에 연구팀은 완치 판정을 받고 2주가 지난 남성의 회복기 혈장 500㎖를 12시간 간격으로 2회 투여했고 스테로이드 치료를 병행했다.

현재 A씨는 인공호흡기를 제거했고 코로나19 검사에서도 음성 반응이 나와 완치 판정을 받았으나 다른 질환 등이 있어 아직 입원 중이다.

두 번째 혈장 치료를 받은 B씨는 평소 고혈압 병력이 있는 가운데 고열과 근육통이 있다가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다.

진단 3일째부터 호흡 곤란으로 산소요구량이 높아지면서 왼쪽 폐 상태가 나빠져 세브란스병원으로 이송됐다.

연구진은 마찬가지로 회복기 혈장을 12시간 간격으로 두 번에 걸쳐 투여하고 스테로이드 치료도 했다.

이후 림프구 수가 회복되고 바이러스 농도가 감소했고 흉부 엑스레이 검사에서도 폐의 침윤 상태가 좋아졌으며 CRP도 정상 수준을 회복했다.

코로나19 진단 검사에서 음성이 나온 B씨는 지난달 1일 입원한 이후 27일 퇴원했다.

최준용 교수는 "혈장치료를 하려면 완치자들로부터 혈장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혈장 기증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혈장을 확보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며 "혈장 기증자를 모집하고 혈장을 확보해서 적절히 배분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2. 벤처투자 기업

최근 5년간 벤처투자를 유치한 기업들 가운데 기업가치 1000억원 이상인 '예비 유니콘 기업'은 235개사로, 4년 새 4.6배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벤처기업부와 벤처캐피탈협회는 2015∼2019년 벤처투자를 받은 4613개사 중 기업가치를 확인할 수 있는 3381개사를 대상으로 기업가치를 분석한 결과를 7일 발표했다.

해당 기업들의 기업가치는 총 124조772억원으로,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사와 비교하면 1위 삼성전자(약 281조원)에 이어 2위에 자리할 만큼 큰 규모다.

이는 코스닥 전체 시가총액(약 210조원)의 59%에 해당하는 규모이기도 하다.

기업가치별로 보면 1000억원 이상 기업이 235개로 전체의 7%를 차지했고, 100억~1000억원 기업은 1623개, 100억원 미만 기업은 1523개로 집계됐다.

특히 '예비 유니콘'으로 여겨지는 1000억원 이상 기업은 2015년 51개보다 지난해 4.6배 증가했다.

중기부 관계자는 "예비 유니콘 기업의 증가 폭은 2018년부터 부쩍 커졌는데, 이는 2017년 대규모 모태펀드 추가경정예산으로 조성된 벤처펀드가 다음 해부터 본격적인 투자로 이어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분야별 기업가치는 바이오·의료 분야가 평균 651억원으로 가장 컸다. 이어 게임(451억원), 화학·소재(398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투자금액 대비 기업가치 배수는 게임 분야가 16.8배로 가장 높았다. 이는 투자자로부터 성장 가능성을 높게 인정받았다는 의미다

화학·소재(12.9배), 유통·서비스(11.4배), 바이오·의료(11.1배)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가치 1000억원 이상 기업 중에는 바이오·의료 분야가 71개(30.2%)로 가장 많았고, 정보통신기술(ICT) 서비스(50개), 유통·서비스(35개), 전기·기계·장비(25개) 등이 상위에 올랐다.

4차 산업혁명 관련 분야 중에는 5G가 평균 기업가치(672억원), 투자액 대비 기업가치 배수(13.8배) 모두에서 선두에 섰다.

최근 2년간 투자액 대비 기업가치 배수가 꾸준히 높아진 4차 산업혁명 분야는 ▲ 클라우드 ▲ 스마트시티 ▲ 자율주행차 ▲ 지능형 로봇 ▲ 증강·가상현실(AR·VR)이었고, 블록체인과 핀테크는 매년 하락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관심도가 낮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3. 이재명 배민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오늘(7일) “소비자와 국민이 무섭다는 걸 보여달라”며 배달의 민족 수수료 개편 논란에 대해 재차 비판했다.

이날 이 지사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배달의 민족 측의 수수료 원상복구가 불가하다는 인터뷰 기사를 공유했다.

이 지사는 “단순 플랫폼 독점으로 통행세 받는 기업이 인프라 투자자이자 기술문화자산 소유자인 국민을 무시하고 성공할 수 있을까요?”라고 물으며 운을 뗐다.

이어 “돈만 밝힌다고 돈을 벌수는 없다”며 “성공한 기업들이 왜 사회공헌에 윤리경영을 하고, 어려운 시기에는 이용료 깎아주며 공생을 추구하는지 이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그는 “국민과 소비자는 기업을 살릴 수도 있지만, 죽일 수도 있다는 걸 모르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대한 빨리 공공앱을 개발하겠지만, 그 사이에라도 대책을 세워야겠다”며 “배달앱이 아닌 전화로 주문하고, 점포는 전화 주문에 인센티브를 주자는 운동이 시작됐다. 도민을 보호해야 하는 지사로서 적극 응원한다”고 배달의 민족 불매 운동을 지지했다.

앞서 이 지사는 지난 4일 배민의 수수료 부과 방식 변경에 소상공인 단체가 반발하자 독과점의 횡포라고 비판한 데 이어 6일에는 대책 회의를 열어 공공 배달앱 개발 방안을 밝힌 바 있다.

4. 운송물류비 확대지원

정부가 오는 5월까지 딸기, 화훼류, 버섯 등 신선 농산물에 대한 수출 물류비 지원을 확대한다.

7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신선 농산물 생산 농가와 수출 업체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주요 농식품 수출 품목에 대한 물류비를 2월 말 선적분부터 지원한다.

올해 기본 물류비를 표준 물류비의 7% 이내로 지원하고 있는 aT는 항공·선박 운임 상승률과 시장 상황을 반영한 수출 물류비가 대폭 늘어나면서 추가 지원을 결정했다.

딸기의 경우 항공 수출이 집중된 동남아 시장을 중심으로 지원 단가를 ㎏당 477원에서 1212원으로 인상했다.

선박 운임에 대해서도 ㎏당 160원의 물류비를 추가로 지원한다.

국내외 소비가 침체되면서 어려움이 큰 화훼류를 선박으로 수출할 때는 물류비를 7% 추가로 지원한다.

모든 선박 수출 물량이 14%의 물류비 지원을 받게 되는 것이다.

유럽 국가로의 항공 수출 물량이 많은 버섯에 대해선 7%의 항공 물류비를 추가 지원한다. 버섯은 화훼류와 함께 항공 운임 상승, 국내외 수요 감소 등으로 이중, 삼중고를 겪고 있는 품목으로 분류된다.

이밖에 기타 수출 품목에 대해서도 선박 운임의 평균 상승액인 ㎏당 9원의 물류비를 추가 적용해 선박을 이용한 수출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딸기, 화훼류, 버섯 등은 화물차 안전 운임제가 시행되면서 국내 운송비도 올랐는데, 이들 품목에 대해선 실제 운임 상승액을 적용키로 했다.

기타 품목에 대해서도 평균 상승액인 ㎏당 13원을 일괄 지원한다.

5. 수입 판매부과금 징수 유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석유업계를 지원하기 위해 석유수입·판매부과금 징수를 90일간 유예한다.

코로나19 펜데믹(세계적 유행)으로 석유 수요가 급감하면서 국내 석유업계가 매출 감소 등 경영상 어려움을 겪는 데 따른 조치다.

정부는 국내 석유업계가 직면한 급격한 실적 악화로 인한 일시적 자금 부담, 석유 저장공간 부족 문제 등을 우선 해결한다고 설명했다.

우선 4∼6월분 석유수입·판매부과금 징수를 90일간 유예해 부과금을 납부하는 54개 석유사업자의 자금 부담을 줄인다.

석유수입·판매부과금 월평균 징수액은 지난해 기준 3000여억원이다.

산업부는 3개월간의 징수 유예를 통해 9000억원 규모의 납부 부담 완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석유업계는 수요 부족으로 인해 남는 석유를 저장할 공간이 점점 부족해지는 어려움을 계속 호소해왔다.

이에 한국석유공사는 공사의 여유 비축시설을 최대한 활용해 저장탱크 임대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어디에 얼마나 저장할지는 개별 정유사 수요와 석유공사의 시기별 가용공간에 대한 실무협의를 거쳐 결정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정부는 국제유가대응반 회의, 석유공사와 정유사 간 실무 태스크포스(TF) 등을 통해 석유업계, 연구기관 및 민간 전문가 등과 소통하고 있으며, 국제유가와 국내 석유제품가격 변동, 석유업계 경영 여건 등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협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투데이픽 todaypick@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