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는 시작됐는데 공사는 진행중?

본격적인 장마철에 접어들면서 국지적인 호우시 또 다시 수해가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현재의 복구시스템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해마다 피해가 되풀이될 수 있는 우려를 낳고 있다.

충북도에 따르면 지난해 9월 17~18일 집중호우로 도내에서 공공시설만 모두 90억 1600만 원의 피해가 발생해 일선 시·군별로 262건의 공공시설 복구가 시작됐다.

그러나 장마철이 시작된 이달까지 준공되지 않은 사업장은 모두 6곳으로 해당 지역에 폭우가 쏟아질 경우 재피해가 예상된다.

특히 지난 2004년 발생한 수해에 대한 복구 작업이 2년 가까이 완공되지 않은 사례도 있어 충북도를 비롯해 전국 자치단체의 수해복구 시스템 상 큰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실제로 충북 단양군 매포읍 평동리 '평동마을 기반조성 수해복구 공사'의 경우 현재까지 공정율이 85%에 그치면서 올 여름 장마와 태풍이 닥쳐오게 되면 별다른 대책이 없는 상황이다.

이처럼 자치단체의 수해와 복구가 반복되고 있는 것은 전국적인 현상으로 시스템상의 문제점이라고 건설업계는 지적하고 있다.

장마와 태풍이 발생하는 시기는 6~9월까지로 피해 발생 시 피해조사와 설계, 시공업체 선정을 위한 입찰 등을 거치면서 연말경 구체적인 복구계획이 수립되고 있다.

이어 동절기 공사중단이 이뤄지는 1~2월을 제외하면, 빨라도 이듬해 3월경 착공이 이뤄지는 데다 복구비 금액이 많은 사업장의 경우 4~5월에 착공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 때문에 응급복구와 항구복구 단계로 나눠 수해복구가 시행되고 있지만, 3년 연속 수해가 발생한 영동지역 등 도내 상당수 지역에서 수해 재발 피해가 잇따르고 있는 것이다.

건설 업계는 "천재지변에 의한 수해복구 공사의 경우 수의계약 및 긴급입찰 제도를 활성화시켜 피해 즉시 항구복구에 돌입하는 등 시스템 개선이 시급하다"며 "이를 통해 적어도 장마 2개월 전에 공사를 완료할 수 있는 풍토를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충북도 관계자는 "지난해 태풍피해는 그나마 적었던 상태로 대규모 피해가 발생하게 되면 이를 설계하는 데만 최소 2개월이 소요되고 있다"며 "행정자치부 등 중앙부처와 각급 자치단체간 긴밀한 협조를 통한 시스템 개선의 필요성에 공감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