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연구개발특구 기술의 사업화 촉진을 위해 설립된 `대덕밸리 기술거래지원센터'가 활성화될 것이라는 보도다. 이 센터는 2004년 7월 개관한 이래 꾸준하게 업무영역의 내실화를 다져왔지만 아직도 지역거점 역할을 할 수 있는 '지역기술이전센터(RTTC)'로 지정되지 않았다는 것은 이해하기 힘들다. 작년 말에서야 이 센터가 산업자원부로부터 '정부기술 거래기관'으로 공식 지정된 만큼 사실상 RTTC 지정의 전망은 밝다고 볼 수 있지만 당장 구비해야 할 여건이 만만치 않다.?

그간 연구 성과물을 상업화하기 위해 관련기술을 거래하는 지원 시스템이 일관성을 기할 수 없다보니 효율성 차원에서도 문제가 제기돼온 게 사실이다. 각 지역마다 대학, 연구소, 기업 등을 연계하는 지역혁신체계(RIS)가 구축돼 있지만 발굴된 유망기술의 이전 사업화 과정을 매끄럽게 처리하지 못하면 그만큼 국가적으로도 낭비임에 틀림없다. RTTC로 지정될 경우 이전 사업화를 위한 사업화 자금을 민간 투자자금과 연계 지원할 수만 있다면 금상첨화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대덕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된 대전에 아직껏 RTTC가 없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현재 각 지역에서 기술이전 거점기관으로 8개의 RTTC가 운영중이라는 점만 봐도 그렇다. 앞으로 전국에 이 기관을 16개까지 늘릴 것이라는 게 정부의 방침인 만큼 여기에 포함될 수 있도록 비상한 각오가 있어야 하겠다. 대전시는 물론 대덕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를 비롯해 각급 연구소, 대학, 기업의 역량이 총결집돼야 할 것이다. 대덕특구내 중소·벤처기업의 80% 정도가 자신들의 기술력이 세계 최고 수준임을 자부하고 있다는 조사결과의 의미를 살리기 위해서라고 벤처생태계 조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은 그만큼 절실하다고 볼 수 있다.

우선 '대덕밸리 기술거래지원센터'의 기술거래 협력기반 구축 사업, 기술발굴 및 평가체제 강화사업, 기술마케팅 지원 사업, 기술DB 활성화사업을 글로벌 수준에 걸맞도록 정비하는 게 가장 시급한 현안이다. 이 부문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해야만 RTTC지정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산·학·연 연계시스템의 기능 보강책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