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와 충북대 등 일부를 제외한 지역대 상당수가 2단계 BK21(두뇌한국)사업에 지원 신청조차 하지 못할 처지라니 여간 실망스러운 게 아니다. 10억원 이상 대형사업에 대해 엄두도 내지 못하는 것은 물론 2억원 미만의 핵심사업의 경우에도 상당수 지역대가 요건을 갖추지 못해 아예 신청을 포기할 것이라고 한다. 이번 2단계 사업은 적극적인 대학구조조정까지 겨냥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지역대의 안이한 대응자세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BK21사업은 세계적인 수준의 지식과 기술 인력배출이라는 '글로벌 스탠다드'에 초점을 맞추게 되는 특성상 '지방대학 혁신·역량강화사업(NURI)'과는 달리 각종 여건이 충청권 대학에 다소 불리할 수밖에 없음을 이해하지 못하는 바 아니다. 하지만 올부터 향후 7년간 추진되는 2단계 BK21의 총 지원규모는 2조 300억원으로 1단계 사업에 비해 거의 배 가까이 늘었다. 지역 우수대학원 육성분야(총 사업비 2900억원)가 신설되고, 지원자격 요건이 완화됨으로써 충청권 대학들도 지원받을 수 있는 기회가 더욱 확대됐다고 본다.

무엇보다 1999년부터 작년까지 이뤄진 1단계 사업과정에서 정부가 주안점을 두고 있는 사안이 무엇인지 가늠할 수 있었을 것이다. 지역 대학들이 결국 BK21사업의 요건을 갖춘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갖추기 위한 구체적인 노력을 등한시한 것이나 다름없다. 최근 곳곳에서 총장이나 주요 보직을 둘러쌓고 내부 구성원간 첨예한 마찰을 빚고 있는 작금의 상황만 봐도 그렇다. 이래서는 내부 구성원간 '밥그릇' 챙기기에만 몰두한 나머지 실질적인 대학경쟁력 강화부문에는 뒷전이라는 지탄을 면할 수 없다.

충청권 대학들이 국가의 전폭 지원책조차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서야 어떻게 '대학 구조조정'의 과정에서 생존할 수 있을 것인지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이제라도 각 대학들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개선책 및 실천방안에 각고의 자세로 나서야 한다. 이번에 상시평가체제가 도입된 만큼 중도에서 탈락하는 사업단을 대신해 BK21사업에 신규 진입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해나가야 할 것이다. 대학 스스로 개혁에 동참하지 않으면 도태될 수밖에 없는 현실인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