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이 2015년까지 1조 726억원을 투입해 백두대간의 훼손지를 복원하고, 사유지를 매입하는 내용 등을 담은 '백두대간 복원 기본계획'을 내놓았다. 국토의 등줄기이자 한반도 생태계의 핵심 축을 보호·복원하기 위한 실질적인 청사진이 비로소 마련된 것은 반가운 일이다. 그동안 개발이란 명분 아래 무분별하게 훼손돼온 백두대간이 다소나마 안정을 되찾을 것이란 기대를 갖게 한다. 백두대간의 생태계가 하루라도 빨리 제 모습을 되찾을 수 있도록 지혜와 노력을 모아야 할 때이다.

각종 개발사업이 진행되면서 백두대간은 어느 한 군데 성한 곳이 없을 정도이다. 훼손된 백두대간 면적이 3688㏊에 달한다는 산림청의 최근 발표만 봐도 그렇다. 서울 여의도 면적(300㏊)의 12배에 달하는 백두대간이 맨살을 드러낸 셈이다. 이중에는 지방자치단체가 레저파크, 온천개발 등을 핑계로 오히려 백두대간 훼손에 앞장섬으로써 난개발을 더 부추기는 사례도 많았다니 한심하기 짝이 없다. 눈앞의 이익에만 사로잡혀 후대가 지속적으로 영위해야할 민족의 자연유산을 파괴한 것이나 다름없다.

어디 이뿐인가. 해마다 발생하는 산불로 인해 울창한 산림이 잿더미로 변하고 있거니와 최근에는 재선충병까지 창궐하면서 백두대간의 근간을 이루는 소나무를 위협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백두대간 복원이 정부의 의지만으로는 성사되기 어려움을 방증하고 있는 대목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절개지 등 훼손된 곳에 성토를 하고 나무를 심는 노력도 중요하지만 백두대간을 보호하기 위해선 차제에 인재(人災) 요소 등을 감안한 보다 근본적인 실천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본다.

'복원 계획'에 필요한 예산이 제때 뒷받침됨으로써 가용재원 부족으로 지지부진하기 일쑤인 여타 사업의 전철이 되풀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함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한번 파괴된 산림환경은 복구사업이후에도 수십년간 공을 들여야 한다는 사실을 간과해선 안 된다. 아울러 지자체와 주민들이 지역이기주의를 극복하고 백두대간 보호에 동참할 수 있도록 협의나 설득 노력도 병행해야 할 것이다. 백두대간을 복원하고 보호하는 일에는 국민 모두의 정성과 의지가 모아져야 가능한 일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