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정당이 5·31 지방선거 채비에 본격 나서면서 혼탁한 선거 열기를 실감케 된다. 광역·기초단체장, 광역·기초의원 출마 예정자나 각 정당 주변에서 벌어지는 세(勢) 결집에 따른 과열양상이 도를 넘어선 느낌이다. 어제부터 선거관리위원회의 선거법 위반 특별단속이 본격 시작되고, 검찰도 선거 출마예정자와 지역 토착세력간의 불법 유착관계 차단을 위한 단속에 나섰지만 그 결과는 미지수다.

올해 지방선거는 여느 때와는 달리 출마 예정자들의 높은 관심을 촉발하기에 충분하다. 지방자치제 도입 이래 중앙정부의 권한이 지방에 대폭 이양된데다 그간 명예직으로만 인식되던 지방의원에 대해 유급제를 시행하는 등 그 직위에 따른 대우가 대폭 개선됐기 때문이다. 보다 유능한 전문가 그룹이 선거에 참여하면서 한 차원 높은 지방자치를 실현할 수만 있다면 그야말로 금상첨화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살리느냐 못하느냐는 전적으로 우리의 자치의식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이를 낙관하기엔 이미 글렀다는 평가가 주류를 이룬다. 종래 밀실공천의 폐해를 타파하기 위해 도입된 당내 경선제도가 본래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는 탓이다. 일반 주민과 당원들이 후보자를 선출하는 예비선거 성격의 경선을 앞두고 표만을 의식한 불·탈법행위가 극성을 부리고 있다. 자신을 지지하는 선거인단 구성을 위한 당원매수나 당비 대납도 서슴지 않는다. 물론 그 배경을 따지자면 기초의원에까지 정당 공천제를 도입, 정당의 입김을 강화한 측면도 무시할 수 없다. 정당에 줄을 서야 당선에 유리하도록 지방선거판을 흔든 정치권의 책임이 크다.

선관위의 엊그제 발표를 보면 사전선거운동사범이 2057건이나 적발됐다고 한다. 향응과 금품수수, 흑색선전, 당비대납, 공무원의 선거개입 등 그 유형도 다양하다. 설 명절을 앞두고 그 양상이 더욱 심화될 수도 있다는 점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각 정당이나 후보군들의 정치개혁의지에만 기대할 수도 없는 형편이다. 유관단속기관의 공조시스템을 보다 강화하는 한편 유권자들의 감시의식도 중요하다. 우리 손으로 우리 지방 살림 일꾼을 뽑는 일에 불미스런 일이 없도록 비상한 각오로 대처하자.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